•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The social symbolism of the ‘Geumdanggok’ as viewed through Namya Park Son-Gyeong's life and literatur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4
45P 미리보기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2호 / 147 ~ 191페이지
    · 저자명 : 권경록

    초록

    이 글은 ‘영남삼로(嶺南三老)’로 일컬어지던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그리고 그 현장의 문화지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박손경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백불암(百佛庵)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18세기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그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십승지로 일컬어지던 예천(醴泉) ‘금당곡(金塘谷)’에서 실천하는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 글은 문학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은 ‘금당곡’에 관련된 박손경의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박손경의 문학에 재현된 ‘금당곡’은 ‘일상의 공간’, ‘교유․교화의 공간’, ‘천형(踐形)의 실천 공간’이었다. 박손경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것’, 곧 ‘천형’을 사람의 직분으로 이해했고, ‘금당곡’은 그 직분을 다하는 삶의 공간이었다. 시대의 참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실천해 가는 철저한 ‘진인(眞人)’의 심상공간이었다. 박손경이 ‘금당곡’에서 처사로 ‘천형’을 실천하고,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십승지 ‘금당곡’이라는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literature of Namya Park Son-gyeong, who w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and examine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eanings of his place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He was revered 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Daesan Lee Sang-jeong and Baekburam Choi Heung-won. He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devoted to practice at ‘Geumdanggok’ of Yecheon, which was called Shipseungji, until he passed away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s in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spac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to shed light onto the meanings of spatial representations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as social spa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k's literary spati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Geumdanggok’ were socially created spaces.
    The findings show that ‘Geumdanggok’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represented ‘space for life’, ‘space for social intercourse and reformation’, and ‘space for the practice of Cheonhyeong’. He understood ‘Cheonhyeong’ or ‘practice of being human’ as the duty of man and found a life space for the fulfillment of the duty in ‘Geumdanggok’, which was a space of mental imagery of a ‘true man’ that practiced life as a true human being of the times. His practice of ‘Cheonhyeong’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and his literary creation at ‘Geumdanggok’ were the results of place occup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n the social and geographic outcome and order of ‘Geumdanggok’, one of Shipseung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