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 여주의 동학에 관한 연구 -여주 전거론과 원적산의 해월 묘소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eoju's Donghak and Last of Haewol Choi Si-Hyu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9.12
40P 미리보기
경기도 여주의 동학에 관한 연구 -여주 전거론과 원적산의 해월 묘소형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53호 / 43 ~ 82페이지
    · 저자명 : 임형진

    초록

    경기도는 동학이 창도된 1860년대에 이미 접주가 있을 정도로 동학의 전파가 이루어진 지역이었다. 동학이 추구했던 만민평등의 모두가 한울님을 모신지상천국을 노력에 여주의 동학도 동참하였다. 1894년 갑오년 당시 다른 어느 지역 못지않게 여주의 동학도들은 열심히 참여하였다. 많은 접주들의 수가 그것을 확인시키는데 대표적인 동학도인 홍병기와 임순호의 행적에서도읽을 수가 있다. 홍병기와 임순호는 모두 끝까지 한치의 흐트러짐도 없이 해월 최시형을 추종했으며 의암 손병희에게 의리를 지켰다.
    여주가 동학의 도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세종대왕 이래로의 민본의 정신이 가장 잘 구현된 도시이기 때문일 것이다. 세종대왕이 민본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했다면 동학은 그것을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한 이념이자 종교이고 운동이었다. 특히 여주는 가장 높은 신분인 세종대왕과 가장 하찮은 신분이었던 해월 최시형이라는 위대한 선각자들이 영면하고 있는 장소이다. 극과 극이 만나는 것처럼 여주에서는 민본의 정신이 함께 꽃피고 있는 것이다.
    동학농민혁명의 좌절과 함께 해월 최시형의 오랜 고행의 길도 종결된다.
    이미 늙고 병든 해월은 스승인 수운 최제우가 자신에게 도를 넘겼듯 3대 교주가 되는 의암 손병희에게 도통을 넘긴다. 그 현장이 바로 여주의 전거론이었다. 여주의 전거론은 우리 근대사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세대교체의 땅인것이다.
    경기도 여주에서 손병희와 그의 수뇌들은 다시금 동학을 재건하고 조선의모든 민중들에게 다시 또 사람이 하늘처럼 대접받는 세상을 만들라는 스승님의 말씀을 실천하기를 다짐했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더 민중운동에 앞장섰다. 갑진개화혁신운동을 통하여 민중들의 위생적이고 실용적인 삶을 지향했으며 천도교로 변경된 이후에는 더욱민도를 높이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국토가 일본에 강제로 병탄된 뒤에도 천도교는 3.1 민족혁명이라는 거족적인 운동을 계획하고 주도하였을 뿐 아니라이후 국내에서의 민족문화운동도 그들의 몫이었다. 어쩌면 여주시는 동학시대를 마무리하고 천도교 시대를 열면서 민족의 앞길에 여전히 향도와도 같은역할을 하는 시발점의 도시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yeonggi-do was an area where Donghak had already spread in the 1860s when Donghak was founded. Yeoju's Donghak participated in Donghak's pursuit of equality of manmin and efforts to build a heaven on earth.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in 1894, Yeoju's fellows participated as hard as any other area. Hong Byeong-gi and Im Sun-ho's work, a representative Donghakdo, proves this. In particular, Hong Byung-ki and Im Sun-ho all followed Haewol Choi Si-hyung without any disturbance until the end and kept his loyalty to Uam Sohn Byung-hee. Yeoju can be a city of Donghak because the spirit of Minbon since King Sejong is best embodied. If King Sejong suggested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Minbon, Donghak was an ideology, religion, and movement that concretely practiced it in life. Yeoju, in particular, is buried with the great pioneers of King Sejong and Haewol Choi. In Yeoju, the spirit of Minbon is blossoming together. Along with the frustration of the Donghak Revolution, the long-running path of Haewol Choi Si-Hyung ends. Old and sick, Haewol Choi Si-Hyung passes on to Uiam Sohn Byung-hee, who becomes the 3rd principal. That site was Yeoju's "jeongeolon" Yeoju's jeongeolon is the land of generational change informing the new beginning of our modern history. In Yeoju, Gyeonggi-do, Sohn Byung-hee and his men again pledged to rebuild Donghak and create a world where people would be treated like heaven agai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Donghak did not disappear, but rather led the people's movement. After the change to Cheondogyo, he led the people's movement. Cheondogyo not only planned and led the 3.1 National Revolution, but it was also their national cultural movement in Korea. Yeoju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ation by finishing the Donghak era and opening the Cheondogyo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