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 -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Special Features and Characters of Stone-Chamber Tombs during Baekje Hanseong Period - With a Focus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ial Areas along the Hangang River Basin -)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12
44P 미리보기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 -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2호 / 55 ~ 98페이지
    · 저자명 : 이문형

    초록

    최근 중부지방의 한강유역을 포함하는 서울과 경기도 및 충청도 일원에서 백제 한성기로 확실시되는 횡혈식석실묘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백제 한성기의 왕릉군으로 인식되는 석촌동고분에 대한 재인식과 새로운 자료 등이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즉, 기존과는 달리 석촌동 4호분 매장시설을 횡혈식석실묘 구조로 보는 적극적인 해석, 1917년에 작성된 석촌동 일대의 고분 분포도가 새로이 발견・보고되어 교착상태에 있던 백제 한성기의 매장유적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본고 역시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서울 가락동・방이동고분군과 석촌동고분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것이다. 즉, 가락동 3호의 서쪽 동일 능선에 축조된 20여 기의 고분군의 존재로 볼 때 가락동 3호분은 석촌동고분군과 연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가락동 3호분의 축조양상이나 규모 등에서도 확인된다.
    한편 한강유역의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약 15km 이내에 분포하는 서울 우면동 유적, 하남 광암동 유적, 성남 판교 유적 등을 가칭 ‘한강유역권’으로 설정하여 한성기의 횡혈식석실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국 한성기 백제는 이미 중앙세력이 횡혈식석실묘를 수용하고 계기적인 변화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웅진기의 왕릉군인 송산리고분군에서도 적석총이 아닌 횡혈식석실묘가 사용된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포함하여 최근 백제계 고분 즉, 추가장이 가능한 횡혈식석실묘 내부에서 백제토기와 신라토기가 함께 공반 출토되는 사례, 즉 신라토기의 성격 문제이다. 결국 이들 석실분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한 이후에 정복지에 대한 정책과 신라인들이 이들 지역에 남긴 고고학적 자료 등으로 볼 때 백제의 유민(遺民)이 지속적으로 그들의 조상 무덤에 추가장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로 추정되어진다.

    영어초록

    Lately,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presumed definitely to be those of Baekje Hanseong period has been confirmed one after another in the area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including the basin of Hangang River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Furthermore, reports have made their way recently to the academic circles, revealing new data about Seokchong-dong ancient graveyard and recognizing the area as that for royal tombs of Baekje Hanseong perio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viewpoint, facilities of the tomb No. 4 in Seokchong-dong site are actively interpreted to have the structure of a stone-chamber tomb. The findings and reports of the map for ancient bombs in Seokchong-dong area completed in 1917 are expected to serve as a momentum to view the stalemated controversial buried remains of Baekje Hanseong period from a renewed viewpoint.
    In this context,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relevance of Garak-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to Seokchon-dong ancient tomb site, because there seems to be high probability of connection between Garak-dong tomb No. 3 and Seokchong-dong ancient tombs area judging from the existence of 20 or more old tombs constructed along the same ridge to the west of Garak-dong tomb No. 3. This way of presumption is confirmed especi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pattern and size of Garak- dong tomb No. 3.
    Meanwhile, attempts were made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features of stone-chamber tombs during Hanseong period by classifying the remains in Seoul Umyeon-dong, Hanam Gwangam-dong and Seongnam Pangyo located within 15 km centering around Garak- 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into the tentatively named category of ‘Hangang River basin area’. As a result, it was ascertained that, as early as in Hanseong period, the central power group of Baekje Kingdom decided to make drastic change and progress to accommodate the stone-chamber graveyard system, which is verified by the Songsan-ri ancient graveyard for royal family during Unjin period which used stone-chamber tombs instead of stone mound tomb.
    There still remains the issue of characters of Baekje and Shilla earthenware unearthed together within the ancient Baekje tombs or stone-chamber tombs like those in Baekje ancient graveyard including Garak-dong․Bangyi-dong ancient tomb sites in which additional burial is found. Eventually, it may be comprehended that, judging from archaeological data left by Shilla people and from their policies over the conquered in the colony after advance into Hangang River basin, Baekje migrants continued to bury additionally in their ancestors'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