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世堂의 {新註道德經}과 林羅山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 서설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0.03
33P 미리보기
朴世堂의 {新註道德經}과 林羅山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 서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28호 / 297 ~ 329페이지
    · 저자명 : 조한석

    초록

    이 논문은 박세당(朴世堂)의 {新註道德經}과 하야시라잔(林羅山)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정리한 정리형 논문이다. 필자는 ‘박세당의 {신주도덕경}과 하야시라잔의 {老子抄解} 비교 연구’에서 주목했던 점은 첫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 둘 모두 당면한 시대의 사상적 도그마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이 지향한 공통적 사유, 곧 ‘기성의 질서를 넘어서’라는 사상적 도전 과정에 그들의 {노자} 주석이 그 역할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노자} 해석은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장 이해도 임희일의 연장선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라잔은 {노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장자}에 대해서는 유가적으로 해석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결국 하야시라잔에게 있어서 ‘임희일의 노장 이해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도가 사상 수용은 일차적으로는 ‘{노자} 수용’을 의미하며 좀 더 세밀하게 지적한다면 ‘도가 일반’이나 ‘{노자} 일반’이 아닌 특정한 하나의 관점 곧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를 수용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임희일 주석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 그는 {노자}와 {장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유가 경전이나 임희일의 주석을 답습하는 간접적 해석 방식을 지양하고 유가와 도가의 사상적 공유지점을 ‘修身治人’으로 지목하고, 이어서 {장자}「제물론」 成心의 개념적 내포를 성선론적 性의 개념적 내포와 동치시키는 보다 직접적 방식을 통해서 도가 경전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희일이나 하야시라잔이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수용했던 것과 달리 박세당은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와 {장자}를 수용했다고 비교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essay for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who lived Lee Dynasty in 17C and Hayashi La Zan who lived Doku Kawa Bakuhu in 17C. This article have two points at issue. First one is the their challenge that resisted the dogma of their own age. And the other one is their challenge of thaught had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Lao Zi Note. They had a their own Lao Zi Note, Park Sae Dang朴世堂 had a New Note of Lao Zi 新註道德經 and Hayashi La Zan 林羅山 had a Selection Note of Lao Zi 老子抄解.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t points between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The Hayashi La Zan's comprehension of Lao Zi followed in Lao Zi Note of Lin Xi Yi 林希逸 who had a point of Confucian comprehension of Lao Zi, so the study of Taoism of Hayashi La Zan excepted Zhuang zi. Hayashi La Zan concentrated on only Confucian comprehension of Lao Zi because Lin Xi Yi's Note of Zhuang Zi had a point of Zen Buddhism.
    However Park Sae Dang's the study of Taoism has Lao Zi and Zhuang Zi. He understood Lao Zi and Zhuang Zi in a base on Confucian comprehension. He indicated Confucian moral principle 修身治人 for a equal point of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And he understood Cheng Xin成心 in Qiwulun in Zhuang Zi is similar to Xing性 of Xing Shan性善 in Meng Zi. Park Sae Dang analyzed not simply Lao Zi but also Zhuang Zi in a base on Confucian compreh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