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共同體儀禮)와 놀이의 전승력 (An Appearance and Transmission power of the Community rites and Play in Keunmal, Gosek-dong, Suwon-si in Gyeonggi Provinc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06
21P 미리보기
경기도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共同體儀禮)와 놀이의 전승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6호 / 155 ~ 175페이지
    · 저자명 : 최자운

    초록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 및 민속놀이는 몇 번의 부침을 겪었다. 전체 의례 중 유교식 제사 형태의 시월상달 당제사는 한 차례도 중단된 적이 없으나, 생활 환경 및 사고 방식의 변화로 인해 도당굿은 1960년대에, 지신밟기, 줄고사 및 당제사, 그리고 줄다리기는 1987년부터 흐름이 끊어졌다. 이후 마을 청년회가 중심이 되어 지신밟기 및 줄다리기를 1995년에, 도당굿을 2000년에 재개하였다. 2008년부터 고색동 개발위원회가 바통을 이어받아 전체 행사를 주최하다가, 여러 주민조직 간 합의를 통해 2016년부터 현재까지 고색동 민속줄다리기보존위원회가 전체 의례 및 민속놀이를 책임지고 있다. 도시에서 토박이들이 자체적으로 공동체의례 및 민속놀이를 담당할 조직을 결성한 것은 전국적으로 흔한 사례가 아니다.
    과거 농업 기반의 모듬살이가 지속되던 때에는 대동회(大洞會)에서 일련의 의례와 놀이를 전담했다. 대동회가 마을 대소사를 논의, 의결했을 당시 마을 사람들은 시월 상달 진행되는 당제사(堂祭祀)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현재 의례 및 놀이를 전담하는 주민조직 명칭이 ‘민속줄다리기보존위원회’인 것에서 보듯, 정초에 연행되는 줄다리기 비중이 가장 크다. 동신(洞神) 대상 의례에 기반한 신성성 확보에서 민속놀이를 통한 대동성 확보로 큰말 사람들의 관심이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 및 민속놀이가 지속될 수 있는 요인은 토박이들의 전통적 생활공간 유지와 의례 전승에 대한 적극적 의지, 그리고 의례 및 민속놀이 전담 조직 운영이다. 민속줄다리기보존위원회의 독립적 운영 방식 및 회계 투명성은 주민들의 전폭적 지지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clarify the main cause of the Community rites in Keunmal, Gosek-dong, Suwon-si. Village peoples live in Keunmal, Gosek-dong, Suwon-si continue Jisinbapgi, commemorative rites for Village God, rope rite and tug of war host early in January in addition, October the Harvest Monthcommemorative rites for a local god and Dodanggut. Commemorative rites for a local god has not ceased. Dodanggut in 1960s, Jisinbapgi and tug of war ceased in 1987.
    Young adult group played a key role to revive Jisinbapgi and tug of war in 1995, Dodanggut in 2000. Villagers have a difficulty to progress favorably. But they get over without the aid of outside agencies. Young adult group take full charge of Jisinbapgi and tug of war from 1995 to 2007. Gosek-dong Development Committee are wholly charged from 2008 to 2011. It was confusion period from 2012 to 2016. The village peoples agree to Gosek-dong folklore tug of war Conservation Association host whole Rituals.
    Natives who live in residential area could maintain traditional ways of life. Neighborhood Resident Organizations are made up natives. villagers have volunteered to take part. For instance, There are Dangjip Keeper in Keunmal. He served all his working life as a Dangjip Keeper. In order to progress Community rites various neighborhood organization cooperate. natives organized Community rites Agencies autonomously. It is uncommon case on a national scale. The feature of the Gosek-dong folklore tug of war Conservation Association are independence, accounting transparencies and 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