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增韻鏡易解大全』과 『磨光韻鏡』의 開·合口 比較 硏究 -舒聲韻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Opening and Closing Mouth in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韵镜易解大全) and Móguāngyùnjìng(磨光韵镜) - Focusing on Level, Rising, Departing Tone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08
26P 미리보기
『新增韻鏡易解大全』과 『磨光韻鏡』의 開·合口 比較 硏究 -舒聲韻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107호 / 243 ~ 268페이지
    · 저자명 : 배규리

    초록

    본 논문은 중국 등운도 『운경(韻鏡)』이 일본으로 수출된 후, 17-18세기 일본 학자들에 의해 출간된 『운경(韻鏡)』 연구서인 『신증운경이해대전(新增韻鏡易解大全)』과 『마광운경(磨光韻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문헌에 대해 소개하는 동시에, 이를 永祿本 『운경(韻鏡)』 중 각 운도의 개합 분류와 비교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 문헌에서 東, 冬鍾, 江, 支, 魚, 模虞, 宵, 歌, 侵, 談, 凡韻의 분류에 있어 개합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支韻의 순음자 처리에 있어서 『신증운경이해대전(新增韻鏡易解大全)』과 『마광운경(磨光韻鏡)』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원인에 대하여『신증운경이해대전(新增韻鏡易解大全)』과 『마광운경(磨光韻鏡)』의 기록에 따라 이 두 문헌이 참고한 등운도 자료에서 기인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비교 결과, 『신증운경이해대전(新增韻鏡易解大全)』의 개합 분류는 『음운일월등(音韻日月燈)』에 가깝고, 『마광운경(磨光韻鏡)』은 『운법횡도(韻法橫圖)』에 가깝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후속 작업을 통하여 다각도로 증명되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韻鏡易解大全) and Móguāngyùnjìng(磨光韻鏡)which were published by Japanese scholars in the 17th to 18th Century after the Chinese rhyme table Yùnjìng(韻鏡) was exported to Japan and compare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韻鏡易解大全), Móguāngyùnjìng(磨光韻鏡) and Yùnjìng(韻鏡). Through the comparison, this article found that three books show the differences in the opening and closing mouth(开·合口) classification of dōng(東),dōng(冬),zhōng(鍾), jiāng(江), Zhī(支), yú(魚), mó(模), yú(虞), xiāo(宵), gē(歌), qīn(侵), tán(談), fán(凡) rhymes. In particular, those books are different in the arrangement of a labial sound in Zhī(支) rhyme. In addition, this article found that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韻鏡易解大全) and Móguāngyùnjìng(磨光韻鏡) refer to different kinds of rhyme tables: the classification in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韻鏡易解大全) is close to Yīnyùnrìyuèdēng(音韻日月灯), and the one in MóguāngYùnjìng(磨光韻鏡) refers to Yùnfǎhéngtú(韻法横圖) according to the records in Xīnzēngyùnjìngyìjiědàquán(新增韻鏡易解大全) and MóguāngYùnjìng(磨光韻鏡).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