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말~18세기 초 小北 문인에 대한 試探 -虛舟 嚴慶遇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etry of Sobuk(小北) Literary Group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Centered on HeoJoo Um Geong Woo-)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4
24P 미리보기
17세기 말~18세기 초 小北 문인에 대한 試探 -虛舟 嚴慶遇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7호 / 317 ~ 340페이지
    · 저자명 : 임규완

    초록

    본고는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살았던 虛舟 嚴慶遇를 조명한 글이다. 허주는 이름 있는 小北 가문 출신이다. 그 자신은 평생 은인으로서 청백한 삶을 살았으나 그가 교유한 인물들은 소북, 더 나아가 당대 문인으로서 주목을 요하는 인물들이다.
    현재 그의 저서는 정리되지 않은 초고의 『虛舟散稿』로 전하며 그것을 통해 허주의 학문적 성향을 알 수 있다. 地誌에 대한 관심은 소북 문인들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鬼神死生說에서는 무귀론으로 흘러가던 당시의 의견과는 다르게 유귀론을 주장하였다. 이단에 대해서는 諸家의 학설을 꼼꼼히 분석한 뒤 각 사상의 득실을 언급하는 등 나름 공정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程朱에 대해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에 대해 반성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생각 바탕위에 서원의 폐단을 신랄히 비판하는 현실인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문학론 중에서 그의 시론을 살펴보면 당대 문단의 일반적 경향인 당시에 대한 추숭은 기본 입장으로 견지하고 있지만, 그러나 당시에만 매몰되는 자세는 경계의 목소리를 높였다. 여러 조대의 장점을 고루 수용하면서 우리의 풍토와 견문에 맞는 ‘바로 여기 지금 이 순간’에 펼쳐진 실경의 시를 창작할 것을 주문하였다. 이러한 언급은 김창흡을 중심으로 18세기 초반부터 일기 시작하는 조선시 주장의 문학사적 흐름과 동궤를 그리고 있는바, 시대적 요구에 허주는 선구적으로 호응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ighlights Eom Kyeong-u, Heo-ju, who lived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Heo-ju is from Sobuk, a famous family. He himself lived a plain life as a normal benefactor, but People he goes with in his life are those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not only as literary men of Sobuk, but even as contemporary writers in Joseon Dynasty. Currently, his works are delivered in an unorganized, rough copy (Eoju Sango), and through them, the academic disposition of Heoju can be seen. Interest in a topograph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people of Sobuk, and in his essay of (Gwisinsasaeng-seol), he insisted on ghost existing, contrary to the opinions of others who had flowed to it. As for heresy, he tried to maintain his own fair posture by thoroughly analyzing other theories and referring to the gains and losses of each thought, and also urged reflection on blindly following Jung-ja and Ju-ja.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he showed reality perception that criticized Seowon's abolishment. According to his poetics among literary theories, He seemed to hold the basic stance of following Literary trends of Tang Poetry, which wa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current literary circles, but was also wary of being too much buried in it. While accommodating the strengths of the various generations, he ordered the creation of a poem of real life that was unfolded in the “ here and now” that suits our climate and opinions. This remark is the same as the literary history of Joseon's claim to start journaling from the early 18th century centered on Kim Chang-Sup, and he is pioneering in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