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공 월주의 미륵 사상과 요익 중생 -『미륵삼부경』과『삼국유사』와 관련하여 - (The Thought of Maitreya and Beneficial Service of Taegong Wolju - Regarding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Maitreya Sect and Samgukyusa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07
27P 미리보기
태공 월주의 미륵 사상과 요익 중생 -『미륵삼부경』과『삼국유사』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9호 / 35 ~ 61페이지
    · 저자명 : 권기완

    초록

    본고는 태공 월주의 요익 중생의 자비보살행이 그의 독특한 미륵 사상을 통해서 확립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진행한 연구이다. 월주는 미륵 도량인 법주사에서 출가하여 평생을 금산사에서 인연을 맺었다. 그의 미륵 하생에 대한 해석은 매우 독창적이어서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에 비교해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그의 미륵 사상의 핵심은 미륵이 중생을 제도하기에 앞서 모든 중생이 미륵의 화신이 되어 먼저 10선업을 닦아 이 세상을 용화정토로 만들어 두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즉 피동적, 수동적 미륵하생 신앙을 적극적, 능동적 보살행으로 새롭게 해석했던 것이다. 진표 율사에 대한 해석도 기존의 해석들과는 달리 지장과 미륵을 동일하게 중시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후천 개벽이나 메시아 사상에 대해서도 가짜 미륵을 양산해 내고 혹세무민할 우려가 있음을 설파하며 미륵정신회 운동과 미륵 신앙 올바르게 알기 운동을 펼쳤고, 신흥종교들의 미륵 신앙보다 깊은 불교 본연의 미륵신앙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월주의 미륵 사상은 그의 보현행, 자비행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과 속세로의 제2의 출가, 그리고 지구촌 공생회 등을 통한 요익중생과 보살행의 밑바탕이 되었다.
    근현대 한국불교사의 산증인이자 한국불교의 현대화, 대중화, 사회화에 크게 기여한 태공 월주의 요익중생 정신에는 10선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용화정토를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그의 독창적이고 적극적인 미륵 사상이 뒷받침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noted that the beneficial service and Bodhisattva's actions of Buddhist monk Taegong Wolju were established through his unique thought of Maitreya. Wolju became a monk at Beopjusa Temple, a temple that believes in Maitreya Buddha, and lived at Geumsansa Temple all his life.
    His interpretation of Maitreya is so original that it is comparable to Wonhyo's the Annotations of Sutra on ascent of Maitreya. The core of his Maitreya thought was to emphasize that before Maitreya rescued the people, all the people should become the incarnation of Maitreya and first do ten good deeds to turn the world into a Maitreya Pure Land. In other words, the passive Maitreya faith was newly interpreted as active Bodhisattva behavior. His interpretation of Jinpyo preceptor also showed a perspective that values Ksitigarbha Bodhisattva in the same way as Maitreya, unlike the previous one.
    He had a negative view of the ideas of the Great open and the Messiah because he thought it might create fake Maitreya and deceive the public. So he campaigned to understand the Maitreya faith correctly and emphasized the original Maitreya faith of Buddhism.
    Wolju's Maitreya thought served as the driving force for his practice of Samantabhadra, and became the basis for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the second renunciant to the world, and the global community symbiosis.
    It can be seen that his original and active Maitreya thought that he should actively practice ten good deeds and create Maitreya Pure Land together was supported in the spirit of Taegong Wolju's Beneficial service, a living witness to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socialization of Korea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