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 開元三年(715)銘 石造一莖三尊三世佛立像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e of Standing Tri-Loka Buddhas in One Stone of Unified Shilla, Dated Third Year of Kai-Yuan(715 A.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06
23P 미리보기
통일신라 開元三年(715)銘 石造一莖三尊三世佛立像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29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양은용

    초록

    통일신라시대에서 불교는 교학사상과 더불어 활발한 미술활동을 전개시켰다. 그런만큼 신앙도 널리 확산되어 다양한 사례를 남기고 있다. 당시에 조성된 불교미술품 가운데 불상조각은 이러한 사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一莖三尊佛 양식의 새로운 석조불상 자료를 실견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자료는 절대연대를 밝혀주는 銘文을 비롯하여 석조삼존불상의 독특한 조형양식과 조각수법으로 주목되는 바가 크다.
    삼세불입상 즉 「開元三年(715)銘石造一莖三尊三世佛立像」이 그것이다. 이에는 당시에 조성된 불상조각의 흐름을 말해주듯이 특출한 조각수법 및 양식적 특징과 함께 銘文이 새겨져 있다. 재질은 鐘乳石으로 높이 42.6 × 넓이 29.7 × 깊이 11.7cm가 되는 장방형이다. 전면에 명문이 새겨진 基臺部위에 蓮華臺座를 갖추고 있는 삼존불입상은 중앙의 主尊佛이 31.5cm, 좌우의 脇侍佛이 각각 25.5, 25.0cm로 조성되어 있다.
    하나의 돌에 붙어 있으므로 一石三尊이다. 이른바 一莖三尊양식을 갖춘 이 불상은 명문에 의하면 「대당 개원 3년 4월 5일에 유거는 아버지를 위하여 삼가 삼세불 1구를 짓는다(維大唐開元三年四月五日氵文刂 居爲父敬造三世佛一軀)」고 하여 715년에 조성되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삼세불의 명칭은 비교적 오래된 사례인데, 본존불의 手印은 여의주를 든 施無畏印에 與願印이며 좌우협시불은 合掌印을 짓고 있다.
    삼존불입상과 양식상 전체적으로 가장 닮은 형태를 갖추어 있는 불상으로는 국보 제82호로 지정되어 있는 「甘山寺阿彌陀如來像」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719년이라는 조상명문을 남기고 있어서 절대연대를 밝혀주고 있다. 「감산사아미타여래상」이 통일신라 초기의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으로 발전하는 시대를 가름하는 작품이라면 삼세불입상 또한 이에 비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삼세불입상의 조상명은 불상조성의 연기를 기록한 것이지만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신앙사상에 대한 습속을 엿볼 수 있다. 조성양식 가운데 광배를 비롯하여 腰帶 등은 「拜里禪房寺三尊佛立像」과의 親緣性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삼세불입상이 갖는 친연성을 검토하면 『배리선방사삼존불입상』의 조성시기 뿐만 아니라, 이를 전후하여 이루어진 일련의 불상에 대한 양식의 변천을 밝히는 데도 기준점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uddhism in unified Shilla had developed its activity of art as well as flourishing doctrinal study. Due to that, faith also widely spread and remained various cases. While Buddha statues created at the era explains such current, a style of statue of Tri-Loka Buddhas in one stone has newly introduced. This statue is worthy to pay attention for including engraved resource which clarifies exact date, unique style and remarkable carving.
    This statue of Tri-Loka Buddha can named "the statue of standing Tri-Loka Buddha in one stone, dated Third Year(715 A.D.) of Kai-Yuan." In this statue, inscription has engraved as well as special method of carving and characteristic style showing the current of the age. The material is granite stalactite stone, and the figure is rectangular, size of 42.6 × 29.7 × 11.7cm in hight, width and depth, respectively. Inscription had engraved at the front of base part, lotus flower had engrave at platform part, and 31.5cm hight of main Buddha and 25.5cm and 25cm hight of two supporting Buddhas are engraved in a line.
    This statue is made of one stone. In this statue, a style of three Buddhas statues in one stone, the inscription clearly shows the date as 715 A.D. by statement of "On fifth April third year of Kai Yuan of T'ang dynasty, Yoo-Geo made a stone statue of Tri-Loka Buddhas for respectful father(維大唐開元三年四月五日瀏居爲父敬造三世佛一軀)." The name of Tri-Loka Buddhas can be trace older. Main Buddha holds Yeo-Ei-Ju(skt. cintāmaṇi, eng. thought-gem) by right hand with mudra(hand sign) of Si-Mu-Oe-In(salvation from suffering), his left hand exhibits mudra of Yeo-Won-In(give one's wish), and two supporting Buddhas are standing with mudra of Hap-Jang-In(joined hands).
    The closest style with this statue of Tri-Loka Buddhas is the Amitabha Buddha in Gam-San-Sa templewhich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82. The latter clarifies its exact date of 719 A.D. by engraved inscription. It is said that the Amitabha Buddha in Gam-San-Sa temple which is developed from the style of early unified Shilla to new modality and a work of drawing line between ages. Then, this stone statue of Tri-Loka Buddhas can be compared to that.
    Though inscription had described its origin, with this, we can look through folkways of belief of people of the age. Among the figures of the statue, its gloriole and belt strongly displays close relation to the stone statues of three standing Buddhas in Bae-Ri Seon-Bang-Sa Temple. Moreover, further study of this statue and its connection not only reveals the estimated manufacturing date of the stone statues of three standing Buddhas in Bae-Ri, but also is able to suggest cardinal point for change of modality of Buddha status of before and af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