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직관리론에 있어서 방법론적 기초: 수직동형성론과 노자 「도덕경」 (Methodological Base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Vertical Conformity Theory and Lao-tzu’s Work 「Tao Te Ch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36P 미리보기
조직관리론에 있어서 방법론적 기초: 수직동형성론과 노자 「도덕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사학지 / 38호 / 123 ~ 158페이지
    · 저자명 : 오열근

    초록

    이 논문의 내용은 네 가지의 영역으로 축약될 수 있다. 방법론적 개체주의, 방법론적 유기체주의, 수직동형성 사고양식 및 수직동형성론과 도덕경의 관계 등이 그것이다.
    첫째, 방법론적 개체주의에 따르면, 모든 조직은 모두 개체의 결과이다. 본 연구의 수평동형성론이나 Kant와 Weber 등의 주관주의 원리는 방법론적 개체주의에 근거하고 있다. 둘째, 주관주의 원리는, 다음의 세 가지 전제로부터 결론이 내려진다. (ⅰ) 궁극적인 존재적 원리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실체-속성’ 개념을 승인할 것. (ⅱ) 항상 주어로서 결코 술어가 되지 않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실체에 대한 정의를 수용할 것. (ⅲ) 경험하는 주체는 제1실천이라고 가정할 것이다. 그러나 A. N. Whitehead는 주관주의 원리에 대한 반대주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이 세 전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오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순 정위의 오류”와 “잘못 놓여진 구체성의 오류”이다. 주관주의자들은 그들의 철학에서 사유하는 자가 우연적 사고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유기체 철학, 즉 방법론적 유기체주의는 이러한 순서를 역전시켜, 사유가 우연히 사유하는 자를 창조할 때 구성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조직관리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법인 수직동형성론을 논의하고 있다. 그것들은 ① 신체적 경험의 원초적 형태, ② 자기초월체로서 사유하는 자 그리고 ③ 과학과 종교와 철학의 상보적 관계 등이다. 이들에 대하여 각 사항들이 수직동형성과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고찰하고, 이 같은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심물합일론을 이끌어내게 된다.
    본 연구는 심물합일론이 노자 도덕경의 16장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심물합일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덕경」에 의하면 자연 및 인간 생활의 모든 것들은 왔다가는 사라지고, 성장하고 쇠퇴하는 이러한 순환 과정에 의해 형성되어지며, 만물은 항상 또 다른 어떤 것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들이 도가의 변화 사상을 말하는 경우에, 반드시 머리에 두어야 할 하나의 사항은, 도의 움직임은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인간의 존재방식도 도의 작용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 행동도 모두 자발적이지 않으면 아니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s content can be condensed into four area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methodological organicism, vertical conformity theory and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nformity theory and 「Tao Te Ching」.
    Firstly, according to thi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every organization is the result of individual. And the horizontal isomorphism in this study or the subjectivist principle of Kant and Weber, etc. is based upo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Secondly, the subjectivist principle follows three premises: (ⅰ) The acceptance of the ‘substance-quality’ concept as expressing the ultimate ontological principle. (ⅱ) The acceptance of Aristotle’s definition of a primary substance, as always a subject and never a predicate. (ⅲ) The assumption that the experiment subject is a primary substance. But A. N. Whitehead has offered a counterargument to the subjectivist principle. Because the above three premises involve the following two kinds of fallacies. They are “the fallacy of simple location ” and “the fallacy of misplaced concreteness.” The subjectivists in their own philosophies conceive the thinker as creating the occasional thought. The philosophy of organism, in other words, the methodological organicism inverts the order, and conceives the thought as a constituent operation in the creation of the occasional thinker. Thirdly, this article discusses a new approach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analysis-the theory of vertical conformity. They are ① the primitive form of physical experience, ② the thinker as a superject, and ③ the complementary relation of science, religion and philosophy, etc. We review the study consequences on their relation to the theory of vertical conformity, and draw the mind-matter unity based on the results. And this paper concentrates its efforts on clarifying that the mind-matter unity is closely connected with chapter 16 of Lao-tzu’s work 「Tao Te Ching」. Finally, following are the major contents of the mind-matter unity. Taoist emphasizes that all of natural and human life is shaped by this cycle of coming and going, growth and decay, ten thousand things being in the process of becoming something else. When we talk about the Taoist concept of change,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movements of the Tao occur naturally and spontaneously. Since human conduct should be modelled on the operation of the Tao, spontaneity should also be characteristic of all human 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