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Effects of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Uijeongbu, Kyunggi Provin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책연구 / 15권 / 2호 / 101 ~ 125페이지
    · 저자명 : 장정순, 임원선

    초록

    최근 사회복지 패러다임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 애착도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애착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의정부지역 가구주 526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17일부터 2월 30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집락표집(cluster sampling)으로 27명의 조사원에 의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지역사회 문제의 심각성 인식 정도, 지역별로지역사회 애착도에 차이 여부, 지역사회 만족도 변인들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가구주의 지역사회 애착도는 전체 평균점수는 3.30(SD=.095)으로 “보통이다(3.0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거주형태, 거주기간, 장애 유무 변수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 애착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학력별로는 고졸이나 중졸자가 대졸자 보다,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자기 집을 소유한 응답자가 그렇지 못한 응답자보다 지역사회 애착도가 높았다.
    주요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만족도 그리고 지역문제의 심각성 인식정도 변수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사회 만족도, 지역문제 심각성 인식정도의 변인들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을 투입하여 지역사회 애착도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연령, 장애유무, 거주 기간, 주거형태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지역애착도의 전체 변량 중 약 22.2%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 .222). 둘째, 첫 번째 모형에서 지역사회만족도를 투입시킨 결과 전체 지역애착도 변량의 약 26.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 4.8%를 유의미하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번째 모형에 지역사회 문제 심각성 인식정도 변인을 투입한 결과 전체 지역애착도 변량의 약 2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 .9%를 유의미하게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recent paradigm of social welfare is based on local communities, so community attachment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social welfare of the communit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aims at vitalizing social welfare of the communities by stud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establishment of community attachm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526 households in Uijeongbu for two weeks from 2014 February 17th to 30th. Cluster sampling was executed by 27 investigat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effects on community attachment by variances like different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community satisfaction rate depending on social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recognition levels of seriousness about community problems.
    As a result, the average rate of households' community attachment levels is 3.30(SD=.095), a bit higher than "normal(3.00)."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t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social demographic factors include that the variances of age, education, residential type, residential period as well as whether to have disability or not cause meaningful differences on community attachment among the groups. The level of community attachment is higher when age is higher as well as when residential period is longer(*p<.05). In terms of education, the level of community attachment is higher for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graduates. It is also highe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than those without it. Moreover, it is higher for the people who own their houses than those who do not.
    As a result of reviewing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nces, there exist high correlations among levels of community attachment, community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seriousness about local communities problems. The findings about the effects of these variances on community attachment based on the analysis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n term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munity attachment is meaningfully affected by age, residential type, residential period as well as whether to have disability or not. These variances represent 22.2% of the effects(R2= .222). Secondly, when community satisfaction is added to the variances, these as a whole represent 26.9% of the effects thus becoming 4.8% more meaningful. Thirdly, when recognition levels of seriousness about community problems is added to these variances as well as community satisfaction, these as a whole represent 27.8% of the effects thus becoming .9%. even more meaning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