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36년 燕行과 『鏡浯遊燕日錄』 -韓中 知識人 交流의 內容과 實際- (Yeonhaeng (Travel to Yanjing) of 1836 and 『Gyeongoyuyeonilrok』 - Contents and Reality of Exchange between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9.12
33P 미리보기
1836년 燕行과 『鏡浯遊燕日錄』 -韓中 知識人 交流의 內容과 實際-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9권 / 1호 / 137 ~ 169페이지
    · 저자명 : 최식

    초록

    한중 지식인의 교류는 1766년 홍대용이 북경에서 항주의 문인들과 만나 천애지기를 맺고 지속적으로 교류한 이후로 점차 확대된다. 일반적으로 한중 지식인 교류는 연행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과 연행 인편을 매개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연행마다 참여할 수 없는 처지라, 연행 인편을 매개한 간접적 교류가 대부분이다.
    『경오유연일록』은 당시 한중 지식인 교류의 단면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당시 진림의 언급에 따르면, 조선 사신을 명사로 여기고 교유를 바라는 중국의 상황과 어사의 참주로 조선 사신을 꺼리는 당시 분위기가 고스란히 포착된다. 아울러 조선은 다른 나라와는 다르기 때문에 혐의와 간극은 없으니 오해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이는 당시 중국 지식인이 조선 사신을 명사로 여기고 왕래하며 교분을 맺기를 바라며 각별하게 대우했음을 보여준다.
    첫째, 한중 지식인 교류에서 만남을 주선하고 교두보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김정희와 강진의 역할이 감지된다. 임백연은 김정희와 강진의 소개로 중국 지식인의 존재를 파악하고, 강진과 친분이 있던 강문탁과 진림을 매개로 그들과의 교류를 시도한 셈이다. 특히, 강문탁과 진림 같은 인물은 조선 사신이 중국 지식인과 교류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당시 임백연이 연행 노정에서 교유한 중국 인물은 총 20여 명인데, 앞서 언급한 강문탁과 진림을 제외하더라도 吳筠ㆍ姚涵ㆍ汪喜孫 등과 친분이 각별하고 교류도 활발하다. 척독과 시문 및 선물의 왕래뿐 아니라 한중 지식인 교류의 내용과 실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더욱이 『상간편』의 간행에는 黃爵滋ㆍ韓韻海 등이 직접 참여한다.
    셋째, 당시 연행 인편에 한중 지식인의 척독과 시문 및 선물이 상당수 왕래한 정황이 포착된다. 한양에서 북경으로 가져간 품목에는 글씨(조광진)ㆍ문집(『해거시초』, 김양순 시권)ㆍ전별시축(「신취미태사잠유시첩」)ㆍ편지(안영 편지) 등 다양한 품목이 확인된다. 반면, 북경에서 한양으로 들여온 품목으로 羊膓鐵胎葉ㆍ담배ㆍ호필ㆍ남묵ㆍ부채(潘錫恩 글씨, 蔣祥墀 글씨, 홍현주)ㆍ글씨(오균 長軸)ㆍ문집(『史梅叔詩集』, 『周易闡要』, 『유문청공집』, 『宋學師承記』)ㆍ도장(‘汪喜孫印’)ㆍ편지와 선물(조병구, 方羲鏞, 洪奭周) 등이다. 이 밖에도 수많은 척독과 시문 및 선물이 다양한 방법으로 왕래되었을 듯하다.
    넷째, 『상간편』의 저작과 간행은 한중 지식인 교류의 획기적인 사건이다. 당시 연행 노정에서 수창한 8명의 시 15수씩을 선발하여 총 27제 120수를 북경에서 목판본으로 『상간편』을 간행한다. 당시 황작자는 교정뿐 아니라 小序를 쓰고 한운해는 書籤을 써서 판각에 부친다. 당시 『상간편』 간행은 한중 지식인의 이목을 집중시킨 듯하다. 그러한 연유로 임백연은 본래 판각 의도를 분명하게 밝히고, 애써 지나친 의미 부여를 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이는 ‘不知本意, 强生毁譽者, 何足恤也, 亦何足辨也?’는 언급에서 확인된다. 또한 『상간편』은 1833년 冬至使行에서 정사 曹鳳振, 부사 朴來謙, 수행원 崔憲秀가 수창한 연행시집 『燕槎酬帖』과 관련이 깊다. 아울러 『상간편』은 후대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申佐模는 1860년 冬至正使로 연행하는 申錫愚에게 보낸 시에서 “尙書今行, 定有相看續集, 四方傳寫, 想更紙貴.”라고 덕담을 보낸다. 이는 신석우가 신재식의 조카로 연행에서 『상간편』과 같은 저작을 기대한 대목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had gradually expanded after Hong Dae-yong met the literary men of Hangzhou in Beijing in 1766 to enter into the Cheonaejigi (special friend in far distance away). In general,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was made in direct method through Yeonhaeng and indirect method through the agency of a person. Furthermore, it is not possible to participate in Yeonhaeng every time that most cases involved indirect exchange through the agency of a person.
    『Gyeongoyuyeonilrok』 displays the details on the aspect for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at the time. According to the statements of Jin Lim of the time, it displays the atmosphere of the time for the situation of China that desires the exchange with envoys of Joseon and yet to be unwilling to accept the envoys of Joseon with the tyranny of Eosa (royal emissary). Furthermore, it specifically requested not to misunderstand since Joseon had no suspicion and estrangement as it wa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This fact demonstrates that the intellectuals of China at that time considered the Joseon's envoys as well-known scholars to treat them with special privilege with the hope of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First, the roles of Kim Jung-hee and Kang Jin were sensed as they carried out the bridging role as well as establishing the exchange relations for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Looking into the case of Im Baek-yeon, it is considered to attempt the exchange with Kang Jin-bo and Jin Lim who had the acquaintance with Kang Jin after leaning the presence of Chinese intellectuals with the introduction of Kim Jung-hee and Kang Jin. In particular, people like Kang Jin-bo and Jin Lim are considered to carry out significant roles for the Joseon's envoys to exchange with the Chinese intellectuals.
    Second, the Chinese personnel that Im Baek-yeon met in the Yeonhaeng route would be around 20 persons, and even if Kang Jin-bo and Jin Lim who are mentioned earlier are excluded, there were close relations with Oh Gyun, Yo Ham, Wang See-Son with active exchanges. It displays not only the exchange of chidu (letters and mails), poetry and literacy and presents, but also the contents and reality of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to the fullest. In addition, in the publication of 『Sangganpyeon』, Hwang Jak-ja, Han Wun-hae and others were personally participated.
    Third, the personal agency in Yeonhaeng displays the scenes of significant exchange of chidu (letters and mails), poetry and literacy and presents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Yeonhaeng of 1836 had the indirect exchange and its appearance can be confirmed in 『Gyeongoyuyeonilrok』.
    The items taken from Hanyang to Beijing show writing (Cho Gwang-jin), literary collection (『Haegeosicho』, Kim Yang-soon Sigwon (ansers in national examination), Jeonbyeolsichuk (「Sinchwimitaesajamyusicheop」), letter (letter of An Young) and others. On the other hand, for the items imported from Beijing to Hanyang, there are a variety of items with yangjangcheoltaeyeop, cigarette, brush, ink, folding fan (Ban Seok-eun - writing, Jang Sang-ji - writing, Hong Hyun-joo) writing (Oh Gyun Jang Chuk), collection of literature (『Samaesuksijip』, 『Juyeokcheonyo』, 『Yumuncheongongjip』, 『Songhaksaseunggi』), seal impression (‘Wangheesonin’), letter and gift (Cho Byung-goo, Bang Hee-yong, and Hong Seok-joo) and others.
    And, fourth, the writing and publication of 『Sangganpyeon』 was a remarkable incident for exchange of the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From the Yeonhaeng travel of the time, 15 poems from 8 persons were selected to publish a total of 27-je 120-soo on 『Sangganpyeon』 on the wooden block copy in Beijing. At that time, Hwang Jak-ja and Han Wun-hae als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Sangganpyeon』 that Hwang Jak-ja worked on editing as well as writing Soseo while Han Wun-hae wrote the book cover to place on the engraving plate. At that time, the publication of 『Sangganpyeon』 seemed to attract attention of intellectuals in Joseon and China. Because of such an attribute, Im Baek-yeon requested to clarify its innate intent of engraving plate and not to render any excessive implication. It is confirmed in the statement of ‘Buljibonui, Gangsaengchweyeja, Hajokhyulya, Yeokhajokbyeonya?’. In addition, 『Sangganpyeon』 for Dongjisahaeng in 1833 had profound relations to 『Yeonsasuceop』, a poetry collection on Yeonhaeng that was advocated by Jeongsa (Head Official) Cho Bong-jin, Busa (Deputy Official) Park Rae-gyeon and entourage Choi Heon-soo. Furthermore, 『Sangganpyeon』 influences on later generations that Shin Jwa-mo, in his Yeonhaeng of 1860 as Dongjijeongsa, to send his well-wishing remark of “Sangseogeumhaeng, Jeongyusangganskjip, Sabangjeonsa, Sanggyeongjigwi.” in his poem to Shin Seok-woo. It is deemed to be the passage expected for writing work as in 『Sangganpyeon』 of Shin Jae-sik in Yeonhaeng since Shin Seok-woo was a nephew of Shin Jae-si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