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皇龍寺址 東便 王京遺蹟 月臺附加形 建築物에 대한 一考察 (A Study on the Woldae Attached building of Hwangryong templesite eastside Capital Rui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3.08
28P 미리보기
皇龍寺址 東便 王京遺蹟 月臺附加形 建築物에 대한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2권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양정석

    초록

    S1E1유적으로 알려진 황룡사지 동편 왕경유적은 1987년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이루어져 2002년에는 그간의 조사 성과를 종합한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이를 통해 이 유적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7세기 중반부터 더 이상 왕경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10세기 전반에 이르기 까지 크게 3차례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3차의 시기 중 2차에 해당하는 8~9세기대의 유적이 비교적 명확한데, 총 18개의 가옥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이 가옥들의 성격이 모두 주거용이었던 것은 아니다. 그 중에는 제1호 가옥은 사찰이었음이 분명하며, 제2가옥과 제12가옥의 경우에도 주거용가옥이라고 하기 어려운 평면 구조를 가진 건축물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들 제2가옥의 제1건물지와 제12가옥의 제3건물지는 건물 전면에 월대와 같은 구조의 기단이 부가되어 있고 건물의 배치도 다른 건물과는 차이가 분명하다.
    이러한 월대가 부가된 형태의 건축물은 조선시대 궁궐의 정전, 고려후기 사찰의 금당에서 일부 확인되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이보다 시기가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 8세기 후반 당대 남선사에서는 이와 유사한 월대가 부가된 대전이 확인되어 이와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월대는 기본적으로 궁궐의 정전, 사원의 금당 등에서 행사에 사용하거나 건물의 격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의례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이 부가된 건축물 역시 의례와 관련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남아 있는 유적을 통해 볼 때 이 의례가 불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당시 당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중국의 의례가 틀어오고 있던 시대이므로 유교와 관련된 공간일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investigation on Hwangryong templesite eastside Capital ruins, known as S1E1 ruins,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since 1987. And the report summarizing relevant research has been issued in 2002. With this report, it was found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three times from the middle of 7th century (when the ruins started to be developed in earnest) to early 10th century (when the place failed to play a role as Wanggyeong(capital)). Among 3 times changes, ruins in 8~9 century (this period correspond to 2nd change) is relatively clear as 18 houses (total) in that period have been found so far.
    However, it was verified that all those houses were not used for living. There is no doubt that the 1st house, among the houses, was used for temple, while 2nd and 12th houses are made up building section of flat structure which can be hardly determined to be a place for living. In the front side of the 1st building site of the 2nd house and 3rd building site of the 12th building, Woldae(front-enlarged stylobate) are attached. And the arrangement of building is also different with that of others.
    A building having Woldae are found in other buildings, Jeongjun of Chosun Dynasty and Guemdang of Goryeo in its later part. Currently, buildings which are older than that have not been found yet. But, as similar building (with Woldae) built in the late 8th century of Nanchan Temple(the Tang Periods) has been found, the connection between two is required to be considered.
    Fundamentally, Woldae is a kind of Ritual space used mainly for ceremony in Jeongjun of palace, Guemdang in temple, or to make the building more luxurious. So, it is assumed that building having Woldae could be used for the similar purpose as the building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uins remaining, there is high probability that the Ritual had characteristic of Buddhism. But on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used for a place related to Confucianism is required to be considered, because at that time new Chinese Rites (centering around the Tang Rites)had been ent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