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보적경』 「우바리회」에 나타난 성문승과 보살승의 지계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Keeping Precepts of Śrāvakayāna and Bodhisattvayāna on the Upāliparipṛcchā of Mahāratnakūṭasūtr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대보적경』 「우바리회」에 나타난 성문승과 보살승의 지계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8호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전민지, 신성현

    초록

    대승계(大乘戒)는 독립된 대승교단의 규범으로서 성문계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를 통해 대승불교도들이 부파교단 내에서 공주(共住)하던 학파로 확인되면서, 대승계에 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성문계의 용어를 차용한 『대보적경(大寶積經)』 「우바리회(優波離會)」를 통해 대승계를 독립적인 교단의 규범으로 오인하게 만든 내용을 확인해 보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대승계에서 규정하는 바라이(波羅夷)와 승잔(僧殘), 그리고 그 처벌법은 교단의 운영을 위한 행동규범과는 관련이 없다. 「우바리회」는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를 의업(意業)으로 치환하여 대승보살의 규범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성문승과 보살승의 지계 차이를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승보살로서 갖춰야 할 보살도 혹은 보리심에 대한 이념적 전개로 귀결된다. 즉 대승불교도들이 행위에 머무는 성문계[律]를 극복하고 계의 본질을 회복함은 물론, 정혜(定慧)로 나아가고자 했던 취지는 인정되지만, 승단의 질서를 위해 제정된 독립적인 규범으로는 해석할 수 없다. 게다가 「우바리회」에 나타난 대승계는 성문계를 대체할 수 있는 법제적 성격에서 벗어난다. 그러므로 대승계는 보살승이 자기 자신을 억제하고 단속하기 위한 불도수행의 수단으로 한계 짓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hāyāna Precept has been researched as the opposing concept of the Śrāvakayāna Precept as a standard of the independent Mahāyāna body. However, as it was revealed through recent studies that Mahāyānists commonly reside within sects, it became necessary to reexamine the Sūtra of the Mahāyāna Commandments. This article reviewed the 「Upāliparipṛcchā」 and verified contents that state that the Mahāyāna Precept can be mistaken as a standard for independent religious bodies. In sum, the pārājika(波羅夷) and saṁghādisesa(僧殘) as prescribed in the Mahāyāna Precept along with associated laws of punishment are unrelated to behavior norms set for the operation of religious bodies. The Mahāyāna Precept puts cetanakarma into the pāṭimokkha(波羅提木叉) and asserts it as a norm for Buddhist saints. Furthermore, it spec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olated Precepts of Śrāvakayāna and Bodhisattvayāna. This results in ideological developments of Bodhisattva Path and Bodhicitta that must be possessed by Mahāyāna bodhisattvas. As Mahāyānists depend on Vinaya while they stay within Buddhist sects, they did not need separate regulations for the maintenance of saṃgha. In other words, the identity of the Mahāyāna Precept is recognized in its contents but it was probably not used as a standard for independent religious bo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