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 - 유가사지론』의 경우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and Sautrāntika : In the Case of Yogācārabhūmiśāst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4
32P 미리보기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 - 유가사지론』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0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권오민

    초록

    알라야식(ālayavijñāna, 阿賴耶識)은 유가행파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은 개념이다. 그것은 諸法의 원인적 상태인 종자 ․ 훈습의 토대/住處로서 현행의 6識과는 별도의 실체였다. 해서 그것은 마음을 다만 소의(眼 내지 意根)의 차별에 따라 6識으로 이해한 당시불교도에게 수용되기 어려운 개념이었다. 특히 알라야식과 동일개념이라 할 수 있는 一 心(ekacitta) 즉 동일種類의 마음(一類心, *ekajātīyacitta)을 6識의 한 양태(識類: 識의 동일種類)로 이해한 경량부(上座 슈리라타 일파)의 비판이 가장 강력하였다. 그들에게 있어 알라야식은 무용한 개념이었다.
    이에 따라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초기 유가행파의 당면의 과제가 되었다. 최초의 논증은 『유가사지론』, 「순결택분」에서 8證으로 제시되었는데, 여기에는 경량부 비판에대한 해명(제2증)이나 반박(제3증)도 포함되어 있으며, 직접적인 논증의 경우에도 경량부의 6識 종자설 비판이 주요 논거였다. 차별적이고도 단속적인 6識에는 무부무기성의동일種類의 마음을 설정할 수 없고, 따라서 이것이 執受의 주체도(제1증), 生死位(제2, 제8증)나 無心定의 마음도(제7증), 종자식도 될 수 없을(제4증) 뿐더러 소의(根)에 따른단일한 마음의 차별인 6識만을 주장하는 한 二識俱起도 불가능하다(제3, 제5증)는 것이다. 유가행파의 알라야식 존재증명은 경량부의 6識 종자설 비판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양 학파는 종자설을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친연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지만, 유가행파에서 알라야식을 별도의 실체로 설정함으로써 적대적 관계가 되었다. 도리어 유가행파는 경량부 종자설의 비판이라는 점에서 설일체유부와 步調를 함께 하였다.

    영어초록

    Ālayavijñāna is a characteristic concept of the Yogācāra School. It represented a foundation or abode of seeds(bīja), a causal state of existence, and a separate entity that was different from six kinds of current consciousness(ṣad-pravṛttivijñāna). This made it difficult for Buddhists at the time to accept this concept, because they only understood mind as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relating to six organs. In particular, Sautrāntika(a sect of Sthavira Srīlāta) was most critical of this concept, as they understood ekacitta(一心), a similar concept to Ālayavijñāna, referring to a generic property of mind(一類心, *ekajātīyacitta), as being one of the six existing kinds of consciousness. For them, ālayavijñāna was a useless concept.
    Because of these criticisms, the early Yogācāra School had to prove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The first proof was presented in eight forms in Yogācārabhūmiśāstra Viniścaya saṃgrahaṇi. This included an explanation(second form), and a refutation(third form) of the Sautrāntikasect's criticism. Other forms of proof for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included the fact that the current consciousness cannot be the agent of integration and sustainment of organs(upādāna)(first form), the state of mind at that time of birth and death(second and eighth forms), the state of mind of a thoughtless meditation(nirodhasamāpatti)(seventh form), the possession of seeds by the consciousness (bījakaṃ vijñānaṃ)(fourth form), and the fact that two consciousnesses cannot exist simultaneously (third and fifth forms). This is because a generic property of mind cannot be set to discriminative, and intermittent current consciousness.
    The Yogācāra School's proofs for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were subject to the criticism of the Sautrāntika sect's theory of seeds(bīja),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The two schools agreed in their claims relating to the theory of seeds. However, when the Yogācāra School presented the ālayavijñāna as a separate entity, they became hostile. On the contrary, Yogācāra had the same arguments as Sarvāstivāda in terms of criticizing Sautrāntika's theory of s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