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 가능성 -『무량수경종요』와 관련하여- (Possibility of so called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s Rebirth in the Pure Land--- In Relation to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8
32P 미리보기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 가능성 -『무량수경종요』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3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원효의 정토사상을 알 수 있는 핵심적인 저술은 『무량수경종요』이다. 그 안에는 그가 ‘정토’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떻게 하면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한 논술이 있다.
    또한 일연의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조에는 원효가 계를 잃은 후에 스스로를 ‘소성거사’라고 자칭하면서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민중들에게 넓혔다는 기록이 있다.
    이 논문은 원효 자신의 저술인 『무량수경종요』에 비추어 볼 때, 실계한 ‘소성거사’라고 하는 근기(根機)의 왕생가능성을 물어본다. 이는 반드시 원효 자체의 경지가 ‘소성거사’의 차원에 놓여있었다고 단정한 뒤, 원효의 왕생가능성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원효는 비록 계를 잃었다고 하더라도, 그 보다 더 높은 경지에 존재했을 가능성은 없지 않다. 그러나 ‘소성거사’라고 하는 존재의식은 계를 잘 지키고 있었을 때의 근기보다는 낮은 근기의 존재라고 하는 의미임은 부정할 수 없다.
    과연 그러한 존재로서 ‘소성거사 원효’ 역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가?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에서는 그러한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정토사상을 어떻게 설하고 있는가? 또 그러한 정토사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의는 무엇인가? 이렇게 작업가설적으로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 가능성을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에 물어봄으로써 원효의 정토사상을 다시금 조명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aim to re-illuminate Wonhyo(元曉, 617-686)’s Faith on the Pure Land Buddhism, by answering the question whether so called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 could attain the rebirth in the Pure Land(淨土).
    For this purpose, I re-examined the paragraph, in which Wonhyo broke Buddhist precepts not to have relationship with woman, had a son and finally changed his monk clothes into the secular, by Illyeon’s storytelling in his book Legende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Samgukyusa, 三國遺事).
    I asked two questions about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s Rebirth in Pure Land, and searched the answers in Wonhyo’s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無量壽經宗要), in which Wonhyo shows his standpoints about the Pure Land Buddhism.
    As consequences, I found out that even though he broke his precepts, he still took its qualification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that chanting “Namo Amitābha”, which came from the Sūtra of Contemplation on the Buddha of Immesurabla Life(觀無量壽經) was recommended by Wonhyo as writer of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
    Therefore it has been highly significant for us to ascertain that Wonhyo’s standpoints have shown his choice to chant “Namo Amitābha” as the method of going to the Pure Land. But he also emphasized that practioner’s have to concentrate and repent during his chanting “Namo Amitāb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