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明ㆍ淸代 薛氏 鏡匠과 薛晉候造鏡의 特徵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Artisans from the Xue Family and Xue Jinhou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Chin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12
22P 미리보기
中國 明ㆍ淸代 薛氏 鏡匠과 薛晉候造鏡의 特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8호 / 215 ~ 236페이지
    · 저자명 : 최주연

    초록

    명ㆍ청대 동경 제조는 유리거울 유입으로 사양길로 접어드는 시점이었기에 저평가되었으며, 명맥만 유지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명 말, 청 초까지 황제의 관심과 장인들의 노력으로 그 명맥을 유지했으며, 명ㆍ청대 동경만의 특징을 갖추기도 했다. 본고는 명ㆍ청대 동경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당시 활동했던 설씨 장인들을 바탕으로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명ㆍ청대 동경은 사실 당시 기술적 발전과 동광산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동경제작이 활발했다. 문양은 길상어, 길상문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형태는 원형과 방형을 꾸준히 제작하면서 독특한 형태의 동경 제작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에는 청대 황제인 乾隆帝의 영향이 크다. 건륭제는 황실에 동경을 제작하는 전문기구를 두어 관리했고, 서적편찬을 통해 고기물 뿐만 아니라, 동경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건륭제 재위기간에 제작된 동경에는 ‘乾隆年製’라는 명문이 있으며, 고경부터 청대 유행한 동경까지 다양한 종류의 거울을 제작했다. 황실 제작 동경 이외에 지방 장인들이 제작해 황실로 납입했으며, 대표적으로 호주지역 설씨 가문 장인들이 있다. 명대부터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설씨 가문 장인들은 송대 호주경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자신들만의 특징을 구축했으며, 청대 薛晉候의 활동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명대 활동한 설씨 가문 장인 중 薛恩溪, 薛奇亭, 薛茂松 등이 제작한 동경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모두 자신의 이름을 동경에 명문으로 넣었다. 그 방법이나 위치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문양면이나 뉴 윗부분에 이름을 넣는 식으로 송대 호주경의 전통을 계승했음을 알 수 있다. 청대에는 설진후가 대표적인 장인으로 설진후 역시 호주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설진후의 대표작은 ‘百子鏡’과 ‘詩文鏡’이다. 백자경은 동자들을 문양면 가득 표현한 거울로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아이들의 모습에 빗대어 과거급제의 염원을 담았다. 그리고 시문경은 방형경에 4언 4구체 형식의 시문을 표현했으며, 낙관형식으로 자신의 이름을 넣었다. 이런 시문경의 제작은 당시 문인사회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were undervalued periods because bronze mirror production started to decreased as glass mirrors were introduced. It seemed as if they had merely maintained only their reputation. However, the reputation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with the attention of the emperor and the efforts of the craftsmen. The bronze mirror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even have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rtisans who were active at the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mirrors in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 In fact,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copper mines, the bronze mirror production was active at the time. Letters and images that represents luck were mostly used as patterns. Circles and squares were constantly produced as well as some unique shapes. These chang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Qianlong, the Qing emperor. Emperor Qianlong had a specialized organization in the imperial court to produce bronze mirrors. Also, through the compilation of books, he sought to systematically. record bronze mirrors as well as ancient objects. The bronze mirrors made during the reign of the Qianlong Emperor include a mirror with the inscription “Made in the Year of Emperor Qianlong.” A wide variety of mirrors, from the ones with ancient scriptures to the popular bronze mirrors of the Qing dynasty were produced. In addition to the bronze mirrors made in the Imperial estate, local artisans produced and delivered bronze mirrors, the most notable the artisans being the artisans of the Xue family. The artisans of the Xue family, who had been prominent since the Ming Dynasty, developed their own characteristics by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the mirrors from the Song Dynasty. They reached their heyday through the work of Xue Jinhou in the Qing Dynasty .
    Among the artisans of the Xue family who were active in the Ming Dynasty, the bronze mirrors produced by Xue Enxi, Xue Qiting, and Xue Maosong are the most well-known. They all engraved their names in their bronze mirror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ethod and location of the engravings, it can be seen that they had taken on the tradition of the mirrors in the Song Dynasty in which names were engraved on the pattern or at the top. Xue Jinhou was the most well-known artisan in the Qing Dynasty. He also mostly worked in the family region. Xue Jinhou’s representative works are “百子鏡” and “詩文鏡”. “百子鏡” is a mirror full of patterns that expresses the image of a group of people that embodies the aspirations of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through the everyday scenery of children playing. 詩文鏡 has a poetry in a four-word, four-line form in a square sutra added with his name in a signature form. The production of such 詩文鏡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changes in literary society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