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 무량수경』 제18원의 연구 _제20원과 관련하여_ (A Study on the 18th Vow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In Relation to the 20th Vow)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4
40P 미리보기
『 무량수경』 제18원의 연구 _제20원과 관련하여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7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중생들이 극락에 왕생하기 위한 방법으로 『 무량수경』(강승개 역본) 제18원은 염불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염불 이외에 선행(善行)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왕생이 가능한가 하는 점에 있었다. 실제로 제20원에서는 선행을 통해서도 왕생할 수 있다고 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입장의 대립은 특히 일본의 정토불교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필자는 『 무량수경』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혼돈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 무량수경』의 이역본인 『대보적경 무량수여래회』와 범본을 함께 살피는 방법론을 택하였다.
    『여래회』의 경우에 제20원은 사실상 제18원과 같은 뜻의 반복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굳이 제20원은 존재하지 않아도 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범본의 경우에는, 제20원에 들어가 있는 ‘선행을 짓는다’는 행위를 하나의 독립적인 행법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은 관계대명사 문장의 종속절 안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 주절의 문장 속에는 바로 염불에 의한 왕생을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범본의 경우에는 제18원에서 말하는 염불이 주가 되고, 제20원에서 말하는 선행은 종속적인 의미만 인정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 무량수경』 하권에서 말해지는 제18원의 성취문에는 선행을 닦는다는 말이 나오지 않는다. 범본의 종속절, 즉 『 무량수경』의 제20원에서 말해지는 내용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성취문의 입장이 바로 『 무량수경』의 상권에서 설해진 ‘인문’의 내용, 즉 염불왕생을 지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e Land Buddhism in Eastern Asia depends upon Three Principal Sūtras, of which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has been evaluated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ere are Forty-eight Vows which was confessed by Dharmākara Bodhisattva(Amitābhā Buddha). Of course, all Forty-eight Vows have been very important for the Pure Land Buddhists. But every scholars agree with that the 18th Vow is the most important vow. Every sentient beings can find out the path to the Pure Land from it.
    The Path of 18th Vow is the Chanting Amitābha’s name, I.e ‘Namu Amitabul(Homage to Amitābhā). The problem is that whoever reads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translated by Sanghavarman can discover another path in the 20th Vow too. In fact, Dharmākara Bodhisattva says that if anyone will be born in his Sukhāvatī by doing only virtual behaviour. Indeed, are there one way of Chanting Amitābhā’s name, or two ways of Chanting Amitābhā’s name and Doing virtual behaviour? There have been many argument or disorder on this problem in Japanese Pure Land Buddhism.
    I found out that this problem comes from the translation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by contrasting Sanghavarman’s Version with the Chapter of the Amitāyus in the Ratnakuṭa and present Sanskrit Version.
    First of all, the Chapter of the Amitāyus in the Ratnakuṭa shows us that actually the 18th Vow and 20th Vow have same ontents, if we can exclude the special two phrases, I.e. ‘Saying my Name for example ten times’ and the part of proviso clause in the 18th Vow. Even if there are not the 20th Vow, it will be no problem. I could find out the crucial proof in the Sanskrit Version. The 19th Vow in the Sanskrit Version arrange Doing virtual behaviour in the subordinate clause and Chanting Amitābhā’s Name in the main clause of its relative pronoun sentence. We can conclude that from the first, Doing virtual behaviour has been taught as an independent way to Pure Land.
    Furthermore, the passage declaring the fulfillment of the Primal Vow of the Vol.2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is different from the passage stating the Primal Vow of the Vol.1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because that didn’t suggest Doing virtual behaviour as a way to Pure Land. It may give some validity to the viewpoint of the passage stating the Primal Vow of the Vol.1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which focused Chanting Amitābhā’s Name as the only way to Pure Land. The present Sanskrit Version has also same with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on the the passage declaring the fulfillment of the Primal Vow of the Vol.2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 Sūtra not stating Doing virtual behavio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