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身延文庫藏 無量壽經述記와 義寂의 사상 경향 (The Muryangsugyeong-sulgi of Minobu Libaray and the Tendency of Uijeok’s Buddhist Though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身延文庫藏 無量壽經述記와 義寂의 사상 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6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박광연

    초록

    2009년에 새로 발견된 미노부(身延) 문고의 『無量壽經述記』는 신라 승려 義寂의 저술이다. 康僧鎧 譯 『無量壽經』의 주석서로, 상권의 일부분이 남아 있다. 그 내용은 (1) 부처가 출가하여 깨달음을 이루고 설법하고 般涅槃에 이르는 成道 과정, (2) 반열반에 이른 부처의 여러 가지 공덕, (3) 아난이 부처의 공덕을 찬탄하며 질문하고 부처가 아난을 칭찬하며 설법하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상 특징을 몇 가지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의적을 慧遠系 淨土敎家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여기에서는 慧遠과 해석을 달리하는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논사들의 견해를 직접 인용하지 않고, 주로 『華嚴經』, 『瑜伽師地論』, 『大智度論』 등 經論에 의거하여 주석하고 있다. 셋째, 의적의 다른 저술과는 달리 『화엄경』 인용이 많다. 넷째, 의적의 주관적인 해석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다섯째, 彌勒을 거듭 언급하고 있다.
    『무량수경술기』에 『화엄경』 인용은 모두 6회로, 보살의 苦行, 법륜을 바르게 굴린다는 것의 의미, 부처의 법륜이 중생에게 의미 있게 다가가는 까닭, 般涅槃의 의미, 佛法藏의 개념, 普賢菩薩의 덕에 대한 부분에서 등장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화엄경』 인용이 많고, 『화엄경』의 ‘十’ 개념을 중심으로 『무량수경』 서분을 이해하려고 한 것으로 보아 義寂이 義相의 문인이며 화엄 학맥을 계승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그런데 의적이 『화엄경』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지만, 의상계의 화엄학승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무량수경술기』에는 ‘의상계 화엄교학’이라 할 만한 구절이 없고, 『瑜伽師地論』(또는 『顯揚聖敎論』)의 인용도 『화엄경』과 마찬가지로 6회나 된다. 玄奘의 제자인 窺基도 『화엄경』을 인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라의 유식 승려들이 다양한 대승경전에 관심을 가졌던 분위기를 감안할 때, 의적의 『화엄경』 인용은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적은 의상 제자라기보다는 기존 견해대로 의상과 對論을 펼쳤던 유식 승려이며, 의상과의 대론을 통해 『화엄경』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Muryangsugyeong-sulgi (Commentary on the Sukhāvatī-vyūha), a work of Shilla Uijeok, was found at the Minobu Libray in 2009. Preserved is only the book I and it consists of explanations on these things; 1)the course of Buddha’s attaining the Buddhahood - leaving home, attaining the Enlightenment, preaching the way and lastly getting the nirvana, 2)the merits of Buddha who got the nirvana, 3)Ananda’s questions and Buddha’s answers to them.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not known before. First, though Uijeok has been regarded as the follower of Huiyaun’s thoughts on Pure Land, there are some phrases which dissent from Huiyaun’s explanations. Second, there are very few citations from the earlier scholars, most of the explanations are on the ground of the phrases of the Huayan sutra, the Yogacārābhūmi, and the Dazhidulun. Third, different from Uijeok’s other works, the Huayan sutra is most frequently cited. Fourth, Uijeok’s own opinions are rarely pronounced. Fifth, Maitreya is frequently addressed.
    The Huayan sutra is cited six times in the work; for the explanations on the penances of Bodhisatva, the right rotation of Dharma-cakra, the meaning of Nirvana, the notion of the storehouse of Buddha-Dharma, and the merits of Samantabhadra. It is said that considering the not a few citations from the Huayan sutra and the tendency to understand the first part of the Sukhāvatī-vyūha using the number of 10, Uijeok must have been the disciple of Uisang and followed the Huyan school.
    It can be admitted that Uijeok had deep knowledge of the Huayan sutra, but it is hard to tell he belongs to Huayan school. There are no phrases which hints any connection with Uisnag’s Huayan theory. There are as many citations from the Yogacārābhūmi as the Huayan sutra. Guiji, the disciple of Xuanzang, frequently cited the Huayan sutra and the Shilla Yogacara monks had much interests on several Mahayana sutras. Uijeok’s citation of the Huayan sutra consists with such tendencies of the Yogacara monks at the time. So it is much more reasonable to regard Uijeok as a Yogacara monk who debated with Uisang, through which he deepened his understanding on the su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