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僧肇 選『注維摩詰經』에 나타난 方便의 理解 (Understanding of Means Shown in Seungjo's『‘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08
30P 미리보기
僧肇 選『注維摩詰經』에 나타난 方便의 理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7호 / 221 ~ 250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초록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승조 選『주유마힐경』에 나타나 있는 ‘보살의 방편사상’과 관련하여, 「佛道品」의 “智度, 菩薩母, 方便, 以為父.”와 「問疾品」의 “慧·方便의 有無와 縛·解의 關係”에 대한 ‘라집’과 승조의 주해를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그럼에 있어 방편과 지혜의 의미 규정과 관계성에 유의하여 살펴보았다.
    ‘라집’은 인도의 전통 속에 머물러 있는 가운데, 여래지·불지와 보살의 無生忍(無生慧), 체(智度-어머니)와 用(方便-아버지), 소승의 自利적 방편과 대승의 利他적 방편, 세간의 법(有相의 慧)과 출세간의 법(無相의 慧) 등에서 主從 또는 上下 관계의 原理가 주요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 한편 해탈의 경계로서 칠주 이상(출세간의 법)과 육주 이하(세간의 법)로서 구분하지만, 육주 이하와 신학 보살에게도 세간의 법을 적용하여 해탈의 길을 열어 놓고 있다는 점은 특이하다. 그런 가운데 대승의 불법으로써 방편력과 신통력을 주요하게 제안하고 있으며, 인도 龍樹의 『十住毘婆沙論』의 難行道와 중도 사상도 강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승조는 지혜(內-어머니)와 권도(外-아버지)를 마음의 內外的인 平等構圖로 잡아가는 가운데, 부처와 보살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대승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동행자로 보고 있다. 그리고 권도인 漚和(아버지)와 般若인 지혜(어머니) 역시 相依 또는 相卽의 관계로서 상호 필요한 평등구조를 기획하고 있다. 특히 승조는 소승적 二乘의 수행 체계를 해탈의 경계에서 제외하고 있는 한편, 보살과 중생의 同時·同行的인 대승적 해탈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六住 이하의 보살은 有相의 행을 가짐으로 혜는 있으나 교방편이 없음으로 결박에 머무르고, 七住 이상의 보살은 無相의 行을 가짐으로 혜행과 방편행이 구족하여 해탈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런데 六住 이하의 보살에 대한 해탈 여부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extant Seungjo's 10-volume『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38 books) is the combination by a later-period scholar of single commentaries of scholars such as Gumanajip(344-413), Seungjo(384-414), and Chukdosaeng(?-434), Chukdoyung(?-?), who lived in the 4th to 5th centuries. The tome is the oldest commentary on the Vimalakirti Sutra, which later deeply influenced the Chinese Buddhism of Sanlun Learning and Tiāntāi Learning.
    In this regard, Seungjo proposes his position of thought to unify Buddha and the Great Bodhisattva's Way of Unimaginableness and Liberation, the Principle of Confucian Changes of Zhou, namely, the opening of the new civilization,and the Taoist truth of "dim the radiance and mingle with the dust." Yet, he raises the two gates of means (power) and wisdom as the foundation of achieving the unimaginableness realm.
    Gumarajip names Buddha and Tathāgata's wisdom (wisdom, 10 Paramitas wisdom) as the Buddhist wisdom and Tathāgata wisdom, while naming wisdom of Bodhisattva as patience of non-production or wisdom of non-production (panna of 6 Paramitas), dualizing the thought. Meanwhile, Seungjo bases the numerous practices of 『‘Vimalakīrti Sutra’』on right(virtue, expedient means) and wisdom (panna of 6 Paramitas), regarding them as the master. He regards both Buddha and Bodhisattva as wisdom, the mother, and as the right, the father, and insists on achieving the Great Bodhisattva embracing "First attain enlightenment through cultivation, then save all beings." In the meantime, Gumanajip sees the 7th-stage-of-abiding or higher-ranking Bodhisattva as having wisdom of no-form, and bases the gates of wisdom and means on supramundane teachings, while seeing under 7th-stage-of-abidingBodhisattva or Sinhak(新學)Bodhisattva as wisdom of true-form, and bases it on the worldly truth.
    In the meanwhile, Seungjo sees that under 6th-stage-of-abiding Bodhisattva have not yet mastered existence·non-existence with sincere hearts, and thus have no means, but can control their minds with three emptinesses (emptiness<空>·no-form<無相>·no-action<無作) and thus have wise acts. However, 7th-stage-of-abiding or higher-rankingBodhisattva are all equipped with the acts of means and wise acts, and thus can reach the realm of Nirvana, because their mind-wisdom istranquil, allowing them to accumulate virtues in an inactive state of mind, namely, due to the acts of no-form(無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