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廣寺 經牌의 千字文 帙(函)號에 대한 硏究 (A Study on Cheonjamoon Jil(Ham)ho of the Gyungpae in Songgwangs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6
23P 미리보기
松廣寺 經牌의 千字文 帙(函)號에 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8호 / 203 ~ 225페이지
    · 저자명 : 류부현

    초록

    본 연구는 千字文 帙號(函號)가 새겨져 있는 松廣寺 經牌에 대해 재조장과 초조장의 질호(함호) 그리고 거란장과 동일한 질호(함호)를 갖고 있는 開元錄의 帙次(函次)와 江南의 여러 대장경과 동일한 帙號(函號)를 갖고 있는 開元錄略出의 질호(함호)와의 비교를 통해 松廣寺 經牌의 千字文 帙號(函號)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의 송광사 경패에 새겨져 있는 천자문 질호(함호)는 종래에 이해된 바와는 달리 재조장과 일치하는 것은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초조장의 천자문 질호(함호)일 가능성도 매우 희박하다고 판단된다. 단, 2개의 경전 즉 阿毘達磨品類足論과 新華嚴經論은 송광사 경패와 재조장의 천자문 질호(함호)와 일치하고 있다. 때문에 이 두 경전에 해당되는 것은 분명 재조장의 경패가 틀림없다고 판단된다.
    둘째, 契丹藏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인 관계에서 보면, 종래의 견해와 같이 송광사 경패는 거란장과 관계가 없는 것이 분명하다.
    셋째, 江南藏과 송광사 경패의 관계에 대해서 종래에는 아무런 논급이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매우 주목할 만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大乘阿毘達磨雜集論, 別譯雜阿含經, 阿毗達磨集異門足論, 大元聖朝至元辨僞錄 등은 재조장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고, 오로지 江南藏과 일치하고 있다. 특히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은 江南藏을 비롯한 모든 刊本 대장경 가운데 磧砂藏(1216∼1322)에 처음 수록되었고,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천자문 질(함)호는 磧砂藏에서 최초로 부여된 것인데, 그 천자문 질(함)호는 ‘何(585)’이다. 그런데 그것이 바로 송광사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경패 질(함)호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질(함)호가 ‘何(585)’인 송광사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경패가 磧砂藏 大元聖朝至元辨僞錄에 붙여진 것임에 조금이라도 의심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that it newly examines the gyungpae in Songgwangsa on which Cheonjamoon jilho(hamho) has been inscribed by comparing with the Jaejojang and Chojojang jilho(hamho), Gaewonrok jilcha(hamcha) same like Georanjang jilho(hamho), and Gaewonrokyackchul jilho(hamho) same like some Daejanggyung in Kangnam. The abridged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estimated that not merely is Cheonjamoon jilho(hamho) inscribed on the 13 gyungpaes in Songgwangsa, otherwise known as before, far less in terms of consistency with Jaejojang, but also is pretty rare the possibility it is Cheonjamoon jilho(hamho) in Chojojang. Only the two books, called kyungjeon, Abidalmapumryujokron and Shinhwayeomgyungron are accorded with the gyungpae in Songgwang Temple and Cheonjamoon jilho(hamho) in Jaejojang. For the reason, they are considered to be the gyunpae of Jaejojang for sure.
    Second, it is certain that the gyungpae of Songgwangsa is exactly not involved in Geranjang in the whole relation of it as before.
    Third, there has been any refer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Kangnamjang, Daejanggyung made in Kangnam, and the gyungpae in Songgwangsa. However, there is remarkable analysis in the paper: Daeseungabidalmajabjibron, Byulyeokjabahamgyung, Abidalmajibyeemoonjokron, and Daewonseongjojiwonbyunwerok and so on have nothing to do with Jaejojang and they are just in accord with Kangnamjang. Especially,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s first included in Jeoksajang(1216~1322) among all the Daejanggyung made of mokpanbon including Kangnamjang, and the Cheonjamoon jilho(hamho) of it is given in Jeoksajang at the very first, called ‘Ha(585)’. And it is right the jilho(hamho) of the gyungpae of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n Songgwangsa. Taken the such being the case, there is no doubt that the gyungpae of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n Songgwangsa which has the jilho(hamho) called ‘Ha(585)’ is attached in Jeoksajang Daewonsungjojiwonbyunweer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