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태지의와 『아함경』 - 소승개현 및 아함의 구성을 중심으로 - (Tiantai Zhiyi and the Āgama - su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09
30P 미리보기
천태지의와 『아함경』 - 소승개현 및 아함의 구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6호 / 109 ~ 138페이지
    · 저자명 : 지창규

    초록

    천태지의(天台智顗, 538-597)에게 있어서 『아함경』이란 어떤 경전일까. 종래에는원융사상에 경도된 지의가 아함을 소승장교라 판정하므로 그가 소의(所依)로 하는 『법화경』이나 여러 대승경전에 비해 턱없이 낮게 평가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그가 평생을 통해 이룩한 원융사상은 소승아함과는 별도로 실상을 표방하는 대승의 세계를 전개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이런 견해를 전혀 무시할 수는 없지만 천태의 구조적 교관체계를 가지고 본다면 지의의 경전관을 도외시한 처사라 생각된다. 왜냐하면 지의는항상 상대(相待)와 절대(絶待)를 가지고 모든 대소승의 경교를 개회(開會)하는 태도를가지기 때문이다. 사실 교판을 재고해 보면 오시, 화의, 화법이라는 조직을 통해 기초교설로서의 아함의 존재가 비중있게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별의 원융관으로 아함과 대승을 하나로 잇는 놀라운 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의가 아함에 내린 소승장교라는 단편적 평가만을 가지고 아함을 평가절하했다고 보는 견해는 오해라고 할수 있으며 오히려 지의의 원융적 안목을 저해하는 처사라고 하겠다. 『열반경』에 의거하는 후기 저작들은, 『대지도론』에 의거하는 전기 저작과는 달리 직접적인 방식으로 아함을 인용하거나 활용하고 있다. 『법화문구』를 통해 아함과의 관련을 살펴보면 지의가 조직한 오시경전 가운데에서도 아함이 사종석 중 장교석이나 석공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법화현의』와 『마하지관』에서는 공제를 비롯하여 사제, 십이인연과 같은 교문체계와 사선팔정을 비롯하여 공관, 사념처 등과 같은 관문체계도 아함의 교상과 지관이 그 기초를 조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함은 아라한을 이루는 성문승으로 소승의 교설이지만 지의는 그것을 바탕으로 대승의 교설 나아가 원교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영어초록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Āgama-sutra (阿含經) to the life of Tiantai Zhiyi (天 台智顗)(538-597)? Many generations of Buddhists had considered that Zhiyi, who was immersed in the idea of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had underestimated the Āgama-sutra (阿含經) when compared to the importance he attached to Mahāyāna sutras, which included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had developed the idea of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without the Āgama (阿含), because he had judged the Āgama-sutra (阿 含經) to be a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小乘藏敎). We cannot refute these views.
    However, given the structural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the Tiantai, this allegation would seem to ignore his perspective regarding every sutra, since Zhiyi had always revealed and combined the teaching of every Hīnayāna and Mahāyāna sutra through relative (相待) and absolute (絶待) perspectives.
    For this reason, we considered Zhiyi's books, his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the Forms of Meditation (止觀), and so on in relation to the Āgama-sutra (阿含經). The Āgama(阿含)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ll of his books, especially his later writing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the idea of the Āgama (阿含) takes up a significant part of the organization of his books, such as the five periods (五時), the Fourfold Methods of Conversion (化儀四敎), and the Fourfold Doctrines of Conversion (化法四敎).
    Considering its relation to the Āgama-sutra (阿含經) throug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Lotus Sutra (法華文句), it was found that the largest part of the Four kinds of explanation (四種釋) was the Āgama-sutra (阿含經) among the other sutras of the five periods. Moreover, doctrine systems such as the truth of emptiness (空諦), the four noble truths (四聖諦), and the twelve-fold chain of causation (十二因緣) and practice systems, including the contemplation of emptiness (空觀), the four applications of mindfulness (四念處) and so on comprised the doctrine and practice of the Āgama (阿含) according to Tiantai. We should note that Zhiyi had interpreted the Āgama (阿含) as a Mahāyāna Doctrine, a Complete Doctrine (圓敎), although the Āgama(阿含) is the teaching of the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 (小乘藏敎), which allows Shravaka (聲聞) to reach Arhat (阿羅漢).
    It is safe to say that Zhiyi was the only person who declared the doctrine of the Āgama as the foundation of Buddhism since the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when the Complete and Sudden Teaching (圓頓) became mainstream in China. It therefore would be misleading to say that Zhiyi underestimated the Āgama-sutra (阿含經) due to the fact that he evaluated that the Āgama (阿含) as a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 (小乘藏敎). It would underestimate his insight into the Complete Interfusion. We could say that constructions of Buddhism encompassing Hīnayāna and Mahāyāna are the greatest achievement for accepting the principles of the Āgama-sutra (阿含經) and developing the principles of the Method of Practice as types of Mahāyāna. Nevertheless, it is a shame that so many generations of Buddhists have misunderstood this idea, thereby branding Zhiyi, who constructed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as the man who kicked the Āgama (阿 含) out of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