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흥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 - 신라 중대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 재고찰 - (Gyeongheung’s View of the Rebirth in Tuṣita Heaven in the Sam Mireukgyeong so 三彌勒經疏: Re-examination of Korean Yogācāra Masters’ Understanding of Maitreya Worship During the mid-Silla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경흥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 - 신라 중대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 재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1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박광연

    초록

    『三彌勒經疏』 속에 담긴 憬興(7세기 중반~8세기 초반)의 도솔천 왕생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신라 중대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에 대한 역사학적 해석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경흥이 신라 유식 승려들 모두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현재 신라 유식 승려의 미륵신앙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삼미륵경소』밖에 없고, 많은 논의들이 경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검토가 필요하다.
    먼저 미륵신앙의 성격에 대해 조명하였다. 元曉(617-686) 등의 교화승들은 기층민과 亡者를 구원하기 위해 미타신앙을 강조하였던 것과는 달리, 유식 승려들은 미륵신앙을 통해 자기 자신의 깨달음을 얻고자 함이 컸다고 하고, 또한 이들은 미륵신앙만으로는 대중 교화가 힘들어서 미타신앙으로 보충하였다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유식 승려인 경흥은 8地 이상의 수행자를 제외한 누구나 도솔천에 도솔천 왕생할 수 있다고 하면서, 계를 지키지 못하고 악업을 지은 이들도 쉬운 노력으로 도솔천에 갈 수 있다고 하였다. 염불이나 공양을 통한 극락 왕생은 아주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도솔천은 ‘죽은 후 손가락 튕길 사이에 빨리’ 왕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경흥이 미륵신앙을 교화의 방편으로 활용하였으리라 생각한다.
    다음은 미타신앙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효와 경흥을 대비시켜 원효는 극락 왕생이 쉽다고 하고, 경흥은 도솔천 왕생이 쉽다고 하였다는 견해가 있다. 그런데 경흥은 극락 왕생이 쉽다는 견해를 비판하였지만, 窺基(632-682)처럼 도솔천 왕생이 극락 왕생보다 더 쉽다고 말하지는 않았다. 경흥은 도솔천 왕생도 극락 왕생과 유사한 면이 있으므로 극락에 왕생하는 것은 쉽고 도솔천에 왕생하는 것은 그렇지 않다고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경흥이 어느 한 쪽의 우위를 주장한 것은 아니지만, 그가 도솔천 왕생과 극락 왕생을 모두 추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경흥의 왕생관을 보면, 그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더 쉽고 빠르게 도솔천에 왕생할 수 있다고 말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라 유식 승려들의 미륵신앙이 지식인이나 승려와 같은 상층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때문에 일반민들에게는 미타신앙을 권했다는 기존의 해석은 제고를 요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Korean Yogācāra masters’ understanding of Maitreya worship during the mid-Silla period through a case study of Gyeongheung’s 憬興(fl. Mid 7th to Early 8th century)view of there birth in Tuṣita Heaven in the Sam Mireukgyeong so(三彌勒經疏). Although it cannot be said that Gyeongheung represented all Silla Yogācāra masters, it is necessary to explore his view since there is no available text except his Sam Mireukgyeong so that reveals some concrete aspects of Silla Yogācāra masters’ understanding of Maitreya worship and, furthermore, many academic discussions have revolved around Gyeongheung.
    The article explores the nature of Maitreya worship. Previous scholars argue that Silla Yogācāra masters attempted to attain their own awakenings through Maitreya worship unlike such edifying monks as Wonhyo 元曉 (617-686) who emphasized the worship to save lower-class and dead people. Some scholars also maintain that Yogācāra masters complemented Amitabha worship with Maitreya worship because the former alone was difficult to edify people. However, the Yogācāra master Gyeongheung emphasized that anyone could be reborn in Tuṣita Heaven except the practitioners on higher than the eighth stage (K. palji 八地) who liberated themselves from the bonds of transmigration and that even those who committed evil deeds violating Buddhist precepts could go to the Heaven for themselves. Gyeongheung most of all presented rather an easy way for the rebirth. He argued that such practices as cleaning pagodas, offering flowers, and chanting the name of the Buddha while recollecting the Maitreya image were sufficient to be born in Tuṣita Heaven. He also claimed that the rebirth in Pure Land through reciting the Buddha’s name or offering took a huge amount of time while that in Tuṣita Heaven could happen as fast as the snapping of the finger after death. Based on his arguments, therefore, it can be guessed that Gyeongheung used Maitreya worship as a means to edify people.
    The article also examines hi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ireya and Amitabha worships. According to some previous scholars who compare Wonhyo and Gyeongheung, the former asserted that the rebirth in Pure Land was easy while the latter emphasized that the rebirth in Tuṣita Heaven was easy. However, although Gyeongheung criticized the assertion of the easy rebirth in Pure Land, he in fact never mentioned that the rebirth in Tuṣita Heaven was easier than that in Pure Land as Kuiji 窺基 (632-682) did. Rather, from Gyeongheung’s point of view, since both rebirths in Pure Land and Tuṣita Heaven were similar, it could not be said that the former was easy while the latter was not. In China, Kuiji conflicted with such Pure Land thinkers as Daochuo 道綽 (562-645) and Caijia 迦才 (fl. 6-7th century) who advocated the superiority of there birth in Pure Land. However, it seems that Gyeongheung provided rather an eclectic interpretation by accepting the view of Silla Pure Land thinkers, including Wonhy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