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엄경』의 이근원통과 염불원통의 특성에 대한 비교 고찰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Igeunwontong and the Yeombulwontong of the 'Shurangama Sutr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12
46P 미리보기
『능엄경』의 이근원통과 염불원통의 특성에 대한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4권 / 363 ~ 408페이지
    · 저자명 : 임병정(명조)

    초록

    본 논문은 『능엄경』의 이근원통(耳根圓通)과 염불원통(念佛圓通)이 갖는 특수성에 기인하여 두 원통법에 대한 경문 내용을 분석하고, 『능엄경』의 내용에 담긴 수행체계와 사상적 논리구조를 통해서 두 원통법의 의미와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은 이근(耳根)을 통하여 문성(聞性)을 관조(觀照)함으로써 망심(妄心)을 유발하는 모든 경계를 해제하는 반문자성(反聞自性)의 방법이다. 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은 육근(六根)을 모두 포섭(包攝)하여 오로지 아미타불에 대한 정념(淨念)을 통한 견불(見佛)을 지향한다. 양자는 둘 다 적극적인 대승의지를 선양하고 선정에 들기 위해 각자 가장 수승한 공덕을 지닌 근(根)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능엄경』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원통은 이근원통이다.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이 수승한 이유는 처음부터 문성(聞性)을 관(觀)하여 생멸심(生滅心)에 의지하지 않으며, 육결(六結)의 단계를 거쳐 생사와 번뇌의 근본을 풀어가는 등의 수행의 내용이 『능엄경』에서 제시하는 수행차제를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대세지보살의 염불원통은 인지(因地)에서 아미타불에 대한 일념(一念)을 들고 있고, 아미타불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능엄경』의 기준으로는 문수보살이 지적했듯이 여래에 대한 일념조차 망상이고 생멸심에 의지 한 것이다.
    『능엄경』에서 요구하는 수행의 원칙은 수행의 시작과 목적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두 가지 결정의(決定義) 즉 인지(因地)와 과지(果地)를 일치시키되 문제의 근본에서 해탈의 열쇠를 찾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regarding the two wontong laws that came from the specialness that is possessed by the Igeunwontong and the Yeombulwontong of the Shurangama Sutra (The Sutra of the Heroic One), and it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meanings and the suitabilities of the two wontong laws through the performance system and the ideological logic structure that are contained in the content of the Shurangama Sutra.
    The 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s a method that counter-questions the self-examination that lifts all of the boundary lines that induces the spiritual distinguishing by contemplating the munseong through the igeun. By winning over all of the yukgeun, the Yeombulwontong of the Daesejibosal aims at the gyeonbul through only the jeongnyeom regarding the Amitabha. The two have the commonality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oth of them enhance the aggressive will for the great victory and that each of them selected the geun that possesses the most extraordinary charity in order to make the selection.
    The wontong that is finally selected in the Shurangama Sutra is the Igeunwontong.
    The reason why the Igeunwontong of the Avalokitesvara Guan Yin is very extraordinary is because, from the beginning, it does not rely on the mind of the birth and the death in relation to the munseong and because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that solves the fundamentals of the life and death and the anguish by going through the phase of the yukgyeol and the others of the like has been most faithfully following the performance system that is presented in the Shurangama Sutra.
    The Yeombulwontong of the Daesejibosal mentions the determination regarding the Amitabha in the Inji, and it emphasizes the absolute belief regarding the Amitabha. However, with the standard of the Shurangama Sutra, just as pointed out by the Bodhisattva of wisdom, even the determination regarding the Buddha is a delusion, and it had relied on the mind of the birth and the death.
    The principle of the performance that is demanded by the Shurangama Sutra is that the beginning and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are clearly and definitely recognized and that the two kinds of the determinations or, in other words, the inji and the gwaji, are made to coincide. Except, it is to find the key for the nirvana from the fundamental of the probl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