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금강삼매경』 연구에 나타난 ‘깨침’과 ‘닦음’ (‘Enlightenment’ and ‘Practice’ in Kumkangsammae-Sūtra research of Won Hy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4
33P 미리보기
원효의 『금강삼매경』 연구에 나타난 ‘깨침’과 ‘닦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2권 / 188 ~ 220페이지
    · 저자명 : 이지향

    초록

    『金剛三昧經』에 대승적 깨침을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들 중 일각(一覺) 은 ‘일미(一味)’나 ‘일심(一心)’, ‘본각(本覺)’, ‘여래장(如來藏)’ 등을 포괄하는 대승적 깨침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으로 보인다. 또한 ‘일미(一 味)’는 ‘일각의 맛’이므로 ‘일각(一覺)’의 비유적 표현이라 볼 수 있고, 일심은 일체법을 대하는 시각, 또는 세계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세간법과 출세간법을 구분하는 소승적 시각과의 차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이다. 이러한 일심의 의미를 대승적 깨달음의 세계로서 공간화한 표현이 여래장(如來藏)이다. 그러나 진리의 세계는 본래 시공간을떠난 것이므로 ‘본각(本覺)’과 ‘결정성(決定性)’의 표현을 통해 중생의 마음이 본래 깨달은 ‘본각’이며 그러한 깨달음은 스스로 그러한 ‘결정성(決定性)’을 지닌다는 논지로 그러한 오해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그러므로 대승적 깨침인 ‘일각’은 일체법을 대하는 모든 차별적 인식으로부터의 전환을 중시하는 표현이다. 원효는 경의 종지를 ‘일미관행(一味觀行)’이라 보면서 ‘관행(觀行)’을 나누어 ‘횡’과 ‘종’이라는 시공간의 개념을 사용해 시공간성을 전제로 인식하는 중생의 사고 수준에 맞춰 대승 수행의 의미를 풀어주고 있다.
    그러나 결국 ‘관행’을 ‘일미’로 종합하면서 수행자로 하여금 그러한 인식의 틀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무상관(無相觀) 과 무생행(無生行)의 수행을 통해 가능하다. ‘상(相)이 환화(幻化)임을깨치고 공성(空性)에 대한 마음마저 버리기‘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무상관(無相觀)은 환화가 계속 일어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수행의완성을 위해서는 본래 생멸이 없음을 증득하는 무생행의 과정으로 넘어가야 한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정관(正觀)에 진입하면 삼행(三行)이 이루어진다.
    원효는 깨달음의 세계는 일미평등하고 여여한 행[隨如取行]이 이루어지지만 일에 따라[隨事取行], 또는 식에 따라 행함[隨識取行]이 일어나기 때문에 공(空)에 빠지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대승법에서 ‘깨침’의의미는 중생과 똑같은 행위를 하지만 일미평등하고 여여한 행으로 살아가는 것임을 드러낸다. 이것이 바로 육도행(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이고 수여취행(隨如取行)이다. 또한 초지(初地) 이전에 대승행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는 삼대사(三大事)를 통해 보여준다. 삼대사는 정(定), 혜(慧), 대비(大悲)이다. 결국 무상관(無相觀)과 무생행(無生 行)으로 진행되는 정(定)과 혜(慧)의 수행은 대비(大悲)를 바탕으로 행해져야만 주객의 분별을 떠나게 하고 일체법이 일심이며 본각이라는 ‘일각(一覺)’을 깨우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Of the various terms that mean enlightenment in KumkangsammaeSūtra[金剛三昧經], ‘the one realization[一覺]’ is an expression that encompasses ‘One Character[一味, Oneness]’, ‘One mind[一心]’,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and ‘tathagatagarbha[如來藏]’.
    Also, since ‘One Character[一味, Oneness]’ is ‘the taste of the one realization’, it can be regarded as a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one realization’. One mind[一心] stands for the viewpoint of the world and reveals discrim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Hīnayāna Buddhism.
    ‘tathagatagarbha[如來藏] ’ is the expression of space one mind[一心] as the world of enlightenment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since the world of truth has left the time and space originally, it is the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that the heart of regeneration originally realized through the expressions of ‘the emptiness of Intrinsic Enlightenment[本覺]’ and “The property to be determined[決定性]’’, and such enlightenment itself has such ‘The property to be determined[決定 性]’. Therefore, ‘the one realization’, the enlightenment of Mahāyāna Buddhism, emphasizes the departure from all differentiating thoughts of the world.
    Wonhyo[元曉] sees the core of sutra as ‘the Visualization Practice of One Character[一味觀行]’.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Visualization’ and ‘Practice’ in the sense of time and space.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formance of the Mahayana Buddhism considering the regeneration that think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the end, however, the Visualization Practice is synthesized into one realization[一覺], and it is deviated from such a thought. This conversion of recognition is possible through the execution of Visualization of Form-less[無相觀]. When I enter ‘the right Visualization[正觀]’ through this performance, ‘Three Behavior[三行]’ is made. Through ‘the Suchness of Reality[隨如取行]’, Wonhyo reveals that enlightenment is the same as the regeneration but living in ‘equal and one character-ness[一味平等]’. Also, before realizing, it shows ‘the three important things[三大事]’ about the performance of the Mahayana Buddhism. ‘The three important things[三大事]’ are samadhi[定], wisdom[慧], and mercy[悲].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