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언염송에서 호흡에 관한 연구 - 『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Study on Breathing in Mantra Chanting
 - Focused on Dàrìjīngshù
(The Commentary on the Vairocana - abhisaṃbodhi - tantra)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진언염송에서 호흡에 관한 연구 - 『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7권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영덕

    초록

    밀교(密敎)에서는 독특하게 삼밀행(三密行)을 설한다. 삼밀이란 신밀(身密)․구밀(口密)․밀(意密)의 셋을 가리키며, 이 가운데 구밀이 선도가 되면서 삼밀행이 전개된다. 우리들의 입은 발성을 통한 언어적 기능과 함께 호흡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 진언은 이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갖추면서 수행의 체계를 잡아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어이면서 호흡인 진언에서 이 두 가지는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하는 것이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주제이다.
    진언은 진언이 지니는 언어적 기능을 떠났을 때에 진언이 목표로 하는 궁극에 도달한다. 호흡마저 잊어버리고 파동에 일치할 때에 일체 분별을 초월해서 자재의 경지에 머무는 것이다. 이러한 진언염송의 성취에는 진언염송이라는 파동의 형태로 몸과 마음의 정화를 기도한 것이 그 배경을 이룬다. 여기에서 몸의 청정을 구현하고 뒤이어 마음의 청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볼 수 있다. 그 과정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호흡과 관련된 진언의 염송방법이 필요하며, 『대일경소』는 자세하게 그 염송수행의 여러 가지 방편들을 제시하고 있다. 내외의 염송, 또는 4색염송, 사종염송 등을 통해서 진언을 소리내는 염송에서 진언에 의해서 촉발되어 진언을 넘어 진언을 잊는 데에까지 이르는 차제적 수행을 살필 수 있었다. 불교수행에서 중심을 이루는 호흡은 밀교에서 진언과 결부되어 다양한 염송법으로 전개되었는데, 진언을 반복해서 염송함을 통해서 여래의 호흡으로 자연스럽게 정립되는 데에 염송의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능전(能詮)의 종자를 관한 다음에 소전(所詮)의 이치를 사유함에 의해서 능소(能所)가 둘이 아닌 경지, 즉 수행자와 본존으로서의 진언이 주객합일에 이르는 것을 진언염송의 궁극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tra and breathing, with reference to Dàrìjīngshù as major material and other related esoteric scriptures, which place emphasis on both linguistic and respiratory functions of mantras.
    A mantra can obtain its ultimate goal when it transcends its semantic function. A chanting practitioner can stay in the unimpeded state free from any discrimination when he unifies himself with the vibration of chanting, even forgetting his breathing. As a result, he can shake off any deception caused by discrimination. Likewise, we are able to verify the process to the formlessness of a mantra from the form of the mantra itself.
    It is necessary to have methods of recitation related with breathing to elevate the process. Dàrìjīngshù discloses in detail various means of chanting practice. Through the inward-outward chanting or four kinds of repetition, it shows the procedural practice from vocal chanting to adamantine chanting, which reaches the phase of forgetting even the mantra, far beyond the mantra itself. In Esoteric Buddhism, breathing was combined with mantras, which resulted in diverse forms of chanting. It was advanced to Image chanting to confirm the procedure leading to the ultimate Samādhi.
    Mantra chanting intends to purify body and mind through the wave shape from chanting a mantra. Mantra chanting is a structure which is completed by purification of the body right after purification of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