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景欽 父子의 家學 전수와 가사 향유양상 연구 (A Study on the transfer of academic tradition of Kim Kyungheum(김경흠) family and aspects of enjoyment of Gas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5.02
31P 미리보기
金景欽 父子의 家學 전수와 가사 향유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62권 / 89 ~ 119페이지
    · 저자명 : 송재연

    초록

    이 연구는 전라도 태인에서 19세기를 살았던 道康金門 金景欽과 金永相 父子의 가사 작품에 주목하여, 家學으로 전수된 가사 <三才道歌>의 도학적 지향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金景欽 父子의 도학가사 창작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金景欽은 평생 삼강오륜의 윤리를 몸소 실천하면서 大學 , 周易 등의 성리서를 탐독하여 우주만물의 이치를 체득하고 심성을 수양하는 데 진력했던 도학자였다. 그는 가사 <三才道歌>를 지어 三綱을 실천하며 守分의 삶을 살 것을 권면했는데, 長子인 金永相은 이 작품을 부친에게서 家學으로 전수받아 律身의 계기로 삼았다.
    金景欽은 가사 <三才道歌> 이외에 <警心歌>, <不孝歎>, <城主善政歌>를 통해 가문 내의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실천적 유교 이념을 傳言했는데, 이들은 育德과 振民을 그 요체로 하고 있다. 먼저 <警心歌>는 <三才道歌>의 내용에 기반하여 ‘마음’의 문제에 주목한 작품으로, 천지만물 가운데 가장 신령스럽고 존귀한 인간에게 있어서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전제하고, 中道로 마음을 바로잡아 修德에 힘쓸 것을 권면하고 있다. <不孝歎>은 <三才道歌>에 제시된 人道 가운데 부자유친의 도리를 강조하기 위한 작품으로, 자식들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효를 다해야 한다는 교훈을 傳言하고 있다. 이 두 작품이 中道와 孝悌를 강조하는 育德을 구현하고자 했다면, <城主善政歌>는 유교 규범의 확대와 공고화를 도모하는 振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태인의 고달픈 현실을 인식하고 현재의 성주가 해야 할 선정의 구체적인 요건을 제언하는 한편, 향촌민들에게 요구되는 윤리 규범도 함께 傳言하였다. 한편, 金永相은 가사 향유 경험을 토대로 부모가 모두 별세한 뒤 가사 <金陵世德敦睦歌>를 지어 자신의 도학적 지향을 드러냈는데, 道康金氏 가문의 화목과 화평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 윤리 규범을 제시하면서 친족간의 敦睦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金景欽과 金永相 父子는 家學으로서 <三才道歌>에 구현된 도학의 이념을 공유하면서도 그들이 구현해 낸 작품의 양상은 차이가 있다. 金景欽의 경우 향촌사회 내에서 사족의 위상과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교 이념을 가사 <警心歌>와 <不孝歎>을 통해서 傳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警心歌>에 구현된 ‘마음[心]’과 ‘修德’의 문제, <不孝歎>에서 제시하고 있는 ‘효’나 ‘養志’의 문제는 그 교화의 범위는 가문 구성원뿐만 아니라 향촌민 전반까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城主善政歌>는 향촌사회의 ‘중재자’로서 사족의 직분을 다하기 위해서 성주와 향촌민들을 대상으로 당대에 필요한 윤리 규범을 선택하여 振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가사 <三才道歌>를 통해 구현된 도학의 이념은 <城主善政歌>를 통해 상층과 하층으로 확대되면서 공동체적인 윤리 규범으로 그 성격이 더욱 공고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金永相의 경우 長子로서 道康金氏 가문을 융성하게 하고, 가문의 구성원을 결속하기 위한 목적에서 가사 <金陵世德敦睦歌>를 창작했다.
    결국 이들의 가사 창작 및 향유는 궁극적으로 19세기라는 시대 상황 속에서 전라도 태인에 세거했던 향촌사족이 직면한 향촌사회의 지배질서 변모에 대응하여 사족으로서의 본분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향촌 내의 입지를 확보하고, 문중의 전통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과정이자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Gasa of Kim Kyungheum and Kim Youngsang, who lived in Taein, to reveal the Taoist orientation embodied in Samjaedoga(三才道歌) as a family academic tradition, and to examine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ir Dohak-Gasa.
    Kim Kyungheum was a Taoist who practiced Confucian ethics throughout his life and read books on Neo-Confucianism to realize the reason for everything in the universe and to cultivate his mind. He created Samjaedoga(三才道歌) to encourage people to practice the Three Bonds in Confucianism and abandon their greed and live within their means. And Kim Youngsang, the eldest son, used the work as an opportunity to cultivate himself by reading it from his father and tried to realize the ideology of Taoism embodied in the Samjaedoga(三才道歌).
    Kim Kyungheum conveyed the practical Confucian ideology required of family members, whose main focus is cultivating virtue and helping the people through his Gasa. Gyeongsimga(警心歌) presupposes that the mind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most spiritual and noble human beings in the universe, based on the content of Samjaedoga(三才道歌). Bulhyotan(不孝歎) presents the practical ethics of being filial to parents, and conveys a lesson by contrasting Chinese saints who practiced filial piety with negative characters who committed evil deeds. Lastly, Seongjuseonjeongga(城主善政歌) focuses on relieving the people in terms of promoting the expansion of Confucian norms, suggesting the correct position of local official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but encourages the people to expand it to loyalty after performing filial piety. Meanwhile, Kim Youngsang wrote Guemreungsedukdonmokga(金陵世德敦睦歌) after his parents passed away, revealing his moralistic orientation, and presenting practical ethical norms from various angles to achieve family harmony.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s so far, father Kim Kyungheum and son Kim Youngsang shared the ideology of Taoism embodied in Samjaedoga(三才道歌), bu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work's creation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Kim Kyungheum, it can be seen that he suggests practical ethics to learn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ideology in the family through Gyeongsimga(警心歌) and Bulhyotan(不孝歎), and because cultivating mental cultivation and virtue, and filial piety are not ethical norms limited to the family, the subject of edification can be expanded not only to family members but also to Hyangchon people. On the other hand, Seongjuseonjeongga(城主善政歌) is a work that Kim Kyungheum chose the necessary ethical norms for local officials and local residents to fulfill his duty as a local resident who lived in the Taein region, and the ethical norms implemented in Samjaedoga(三才道歌) are expected to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as a community ethical norm that encompasses the upper and lower classes through this work. In contrast, in the case of Kim Youngsang,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he created works after the death of his parents, it is believed that as the eldest son, he sought a way to bring harmony to the family by revealing the achievements of his ancestor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family and uniting the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