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符經』 수용과 근대 지식인들의 이해 (The Acceptance of Cheonbugyeong and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in modern tim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40P 미리보기
『天符經』 수용과 근대 지식인들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북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북문화예술연구 / 9호 / 187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숙화

    초록

    『天符經』이 세상에 출현한 것은 1917년 무렵이다. 1916년 가을, 묘향산을 주유하던 계연수가 천부경81글자를 발견하여 정훈모의 단군교로 보낸 것이 계기가 되었다. 단군교는 당시 중국 광동으로 망명한 도교철학자 전병훈을 통해 그 가치를 확인하고 1921년부터 단군교의 경전으로 홍보하기 시작했다. 이후 『天符經』은 점차 대종교 및 지식인들에게 보급되면서 특정교단의경전을 넘어 한민족의 정신을 상징하는 민족의 경전으로 수용되었다.
    대종교에서 『天符經』을 종경으로 공식발표한 시기는 1975년이다. 그렇지만1940년대 이미 총본사 차원에서 『三一神誥』와 함께 민족의 경전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1925년, 대종교에서 출간한 『檀典要義』에는 『天符經』을 단군시대부터 전해지는 경전으로 수록하였고 강우, 이시영 등 교단 지도부의 적극적인 수용으로 『天符經』은 단군과 함께 대종교 독립운동가들의 주요한 정신적근간이 되었다.
    『天符經』은 81글자의 함축적인 원리를 담고 있어 해석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되며 활용되었다. 단군교에서는 『天符經』을 신선수련의 원리를 담은 경전으로,그리고 개인구복을 축원하는 경전으로 활용하였다. 반면에 대종교 신도들의 인식은 단군역사와 민족신앙이라는 고유성을 바탕으로 『天符經』을 민족정신의원리로써 이해하며, 나아가 독립운동의 정신적 추동력이 되기도 하였다.
    『天符經』이 민족의 경전으로써 오늘날까지 전해오게 된 배경에는 근대지식인들의 천부경해제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전병훈, 김택영은 도교 혹은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병훈은 단군의 홍익인간 이념을 오대양 육대주의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정신철학으로, 김택영은유교적 이론에 천신사상을 결합시킨 단군천신의 고유사상으로 풀이하였다.
    반면에 『天符經』에 대한 신채호의 비판적 시각도 있었다. 신채호는 사료비판적 관점에서 『天符經』을 위서로 평가한 것이다. 그런데 신채호의 평가는 1925년과 1931년 두 번에 걸쳐 게재되었는데 1925년에는 비판적이었지만, 1931년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살펴볼 때 『天符經』은 출현 당시에는 특정 교단의 경전으로알려졌지만 점차 교단을 넘어 일반인들에게 보급되면서 단군과 함께 민족정신의 원리로써 수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착된 형태가 아니라주술적 축문으로, 혹은 선도수행의 경전으로, 단군신앙의 경전으로 나아가독립운동의 정신적 원동력으로 활용이 되면서 다양한 해석과 활용을 거쳐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tracing how the Cheonbugyeong was circulated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aimed at what impact the dissemination of the Cheonbugyeong had on the Dangungyo, Daejonggyo and even intellectuals during that period. Furthermore,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Koreans understood their independent national spirit with Cheonbugyeong.
    In particular, it had a great deal of impact on contemporaries. It is very noteworthy for the Cheonbugyeong played a vital role to advance and enhance Koreans' national identity against Japanese occupation.
    Cheonbugyeong was circulated by Kye Yeonsoo at first. And then Dangungyo(the leader was Chung Hunmo)and Daejonggyo(the leader was Na Cheol) made a great deal of efforts to spread the Cheonbugyeong. The former accepted the Cheonbugyeong as its creed by Dangungyo, but latter was different. Daejonggyo accepted it as a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idea of Koreans. Daejonggyo placed its primary emphasis on teaching and circulating it to the people as Koreans' traditional ideas from Dangun. It had tremendous impact and influence on patriotic fighters.
    Actually in 1975, it accepted the Cheonbugyeong its official creed and text by Daejonggyo. But since 1940's, the United Grand Lodge had been accepted the it as a original idea of Koreans with Samilsingo.
    On the contrary, Dangungyo collaborated with Japanese authorities for the sake of its survival. But ironically Dangungyo faded away into history and disappeared. We cannot find its traces except for some books or magazines published by it.
    Cheonbugyeong had influences on modern intellectuals, too. Cheon Byeonghun and Kim Taekyeong were the representative of intellectuals who wrote the interpretation and guide book of Cheonbugyeong. They were the first scholar made a commentary on the Cheonbugyeong. Ever since they published it, Cheonbugyeong became to know as a principle and theory of national spirit.
    Shin, Chaeho had wrote critical commentaries on Cheonbugyeong, but because of it, there were different opinions among scholars. On one hand, some scholars thought that Sin Chaeho mentioned negatively about the origin of Cheonbugyon, but in other hand, others believe that Shin Chaeho had not denied the worth of Cheonbugyeong but pointed out its positive origin itself.
    The central idea "the one" that heaven, earth, and human are equal one in and by nature became Korean patriotic fighters' faith and conviction, which justified their armed resistance. That is what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to the contemporary audi ences. What is the history we have to create toward the future? That is what we have to answer and get it from the history of 100 years a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북문화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