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How to Publish 『Sangwonsa Jungchang Kwonseonmun (上院寺重創勸善文)』)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48P 미리보기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0권 / 369 ~ 416페이지
    · 저자명 : 김무봉

    초록

    이 연구는『오대산 상원사 중창 권선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편철(編綴)되어 있는 권선문(勸善文) 및 어첩(御牒)의 작성 연대, 한문본 및 언해본의 제작과 관련된 문제, 첩장(帖裝) 조성의 경위 등 아직까지 해명이 되지 않은 몇몇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판단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의 상당 부분을 풀었다.
    첫째, 어첩을 쓴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의 편철 순서, ‘조선왕조실록’, 김수온(金守溫)이 쓴 ‘상원사 중창 사적기(1475년)’, 권선문과 어첩의 내용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세조 11년[성화(成化) 1년, 1465 A.D.]인 을유년(乙酉年) 2월 20일 무렵에 작성한 글임을 밝혔다.
    둘째, 언해본과 한문본을 별도로 조성한 이유에 대한 해명이다. 언해본의 뒤에는 공덕주로 많은 여인들이 등장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언해본 조성이 왕실이나 내·외명부의 여인들은 물론, 주로 여성들을 위해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권선문과 어첩을 언해한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 모두 중창 불사에 필요한 재화(財貨)를 모으기 위해 쓴 글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한문본에 이어 바로 언해본이 만들어졌음을 밝혔다.
    넷째, 언해를 행한 당사자가 누구인가를 밝혔다. 상원사 중창 불사와 관련된 승려 중 권선문 이후 진행된 언해사업을 고려하여 학조(學祖)로 보았다.
    다섯째, 신미와 세조가 시차를 두고 쓴 두 건의 권선문이 같은 첩장에 묶인 이유이다. 보관하여 많은 이들에게 불은을 입게 하고, 길이 간직할 목적에서 행한 일이다. 중창 불사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학열(學悅)의 주재 하에 동참 승려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Odaesan Sangwonsa Jungchang Kwonseonmun (五臺山 上院寺 重創 勸善文)』which was written in 10th year of the age of Sejo (世祖)(1464 A.D.) who was a King of the Chosun (朝鮮) dynasty. This literature which forms the Cheopjang (帖裝) includes Kwonseonmun (勸善文) written by Sinmi (信眉) and Eocheop (御牒) written by Sejo (世祖). I discuss subjects related to this literature below.
    The first subject is that finding out the era during which the Eocheop was written. It is well-known when the Kwonseonmun was written(1464.12.18 A.D.), but the writing year of the Eocheop was unknown. As a result of this study,I discovered that the Eocheop was written in February 20th Eulyunyeon (乙酉年), 11th year of Sejo (1465 A.D.).
    The second subject is that of finding a reason why the Eonhaebon (諺解本) and Hanmunbon (漢文本) were written separately. I discovered the reason, which is that the Eonhaebon was mainly written for women including women of the royal family, such as Naemyeongbu (內命婦) and Oemyeongbu (外命婦).
    The third subject is determining the time at which the Kwonseonmun and Eocheop were translated into Hangeul . I focused on the purpose of the Kwonseonmun and Eocheop that of gathering wealth for Jungchangbulsa (重創佛事).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 I conclude that Eonhaebon wa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writing of Hanmunbon .
    The four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person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lation of Hangeul(Eonhae).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s that were related to Eonhae after writing Kwonseonmun , I conclude that Hakjo (學祖) translated the Kwonseonmun and Eocheop into Hangeul .
    The fif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reason why Sinmi’s Kwonseonmun and Sejo’s Kwonseonmun are compiled into one Cheopjang , although they were written in different years. Those two Kwonseonmuns have similar handwriting and are in a same Cheop (帖). This aims at showing those two Kwonseonmuns to people and to keep the Kwonseonmuns for a long time. It is highly possible that Buddhist monks compiled the Kwonseonmuns into one book under the supervision of Hakyeol (學悅) who was substantially responsible for Jungchangbul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