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景文王의 즉위 전 행적과 ‘肅淸海俗’ (King Gyeongmun's Pre-ruling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of the Chinese Assimilation Polic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新羅 景文王의 즉위 전 행적과 ‘肅淸海俗’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0호 / 235 ~ 262페이지
    · 저자명 : 박수정

    초록

    <숭복사비>는 경문왕의 즉위 전 행적을 짧고 함축적인 표현으로 서술했지만, 이는 헌안왕대부터 이어져 온 그의 정치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기록이다. <숭복사비>는 경문왕의 탄생과 화랑 활동, 왕족 신분으로서의 出仕 및 高官 역임, 태자 직무 수행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전왕의 아들이 아니었던 그가 순차적으로 왕위에 가까워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삼국사기』・『삼국유사』가 ‘혼인’으로 단순화시킨 응렴의 조건 혹은 자질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그는 화랑으로서 무예와 풍류를 떨쳤고, 金貂의 직에서 ‘肅淸海俗’ 했으며, 이후 태자의 지위에서 仁과 道를 강조하며 짧게나마 대리청정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금초의 직에서 ‘숙청해속’ 했다는 표현은 응렴이 왕의 側臣으로서 侍中의 역할을 수행했던 사실과 당시 업적을 나타내는 듯한데, 이는 그의 정치 이력과 관련해 특히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다. 응렴은 헌안왕대 이와 같은 위치에서 유교 경전 및 시문 이해를 통한 중국 문화의 수입 뿐 아니라 신라의 고유 제도를 禮樂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의 그것에 따라 바꾸는 과정에까지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와 관련해 헌안왕대 확인되는 近侍機構의 정비와 유교 정치 이념의 표방이 특히 주목될 수 있다. <숭복사비>에서 경문왕의 즉위 전과 후에 대해 일관되게 ‘풍속을 교화했다’고 평가한 것은 헌안왕대부터 이미 드러났던 그의 유교적 소양 및 정책적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Soongboksa Monument Inscription(大崇福寺碑銘) describes the pre-ruling political activities of King Gyeongmun(景文王) in short and implicit terms, but it is an important record that helps us understand his process from the King Heonan(憲安王) Dynasty. This shows how he, who was not a son of the former king, became close to the throne sequentially by listing the birth, the activities of Hwarang(花郞), the high-ranking post and the duties of Crown Prince. And it is also a more specific indication of the conditions or abilities than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the "Samgukyusa(三國遺事)".
    In particular, the term "cultivating the customs outside the sea(肅淸海俗) in the Geumcho(金貂) post" seems to indicate the fact that Eungyeum(膺廉) played a role as the king's close aide and his achievements at that time. It seems that Eungyeum was interested in not only the importation of Chinese cultur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 scriptures but also in the process of changing Silla's unique system to that of China based on Li-Yue(禮樂) thoughts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