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 해심밀경(解深密經)「분별유가품(分別瑜伽品)」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Artha (義) in śamatha - vipaśyanā 
of Yogācār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12
23P 미리보기
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 해심밀경(解深密經)「분별유가품(分別瑜伽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9권 / 311 ~ 333페이지
    · 저자명 : 백진순

    초록

    이 글에서는 해심밀경(解深密經)의 유가지관(瑜伽止觀)을 통해 일체법을 ‘말의 의미[語義]’로 다루었던 유가행파의 주요한 전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유가지관의 주요 내용은, 교법(敎法)에 대해 사색하는 것이고, 그것은 크게 법(dharma, 法)과 의미[artha, 義]에 대한 사색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법과 의미의 구분은 말과 의미의 구분과 같다. 이 중에 ‘법(=말)’의 본성에 대한 사색은 이미 초기 불교에서부터 정립된 언어관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의미’의 본성에 대한 사색은 기존의 관점을 계승하면서도 그것과는 획기적으로 갈라지는 새로운 관점이 제시된다.
    유가행파는 하나의 말에 의해 드러나는 것은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마음에 현현된 그 대상의 영상(影像)이라는 초기 불교의 관점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런데 유가지관에서는, 교법에 의지해서 현현해낸 삼마지영상(三摩地影像)이 바로 ‘알아야할 의미[所知義]’에 해당한다. 이 경에서는 삼마지의 마음에서 교법의 의미로 현현되는 삼마지영상뿐만 아니라, 일상적 마음(=산란된 마음)에서 말의 의미로 현현하는 대상의 영상도 본질적으로 모두 ‘마음이 현현해낸 것’이라 말한다. 이것이 이른바 ‘유식(唯識)’의 교의이다.
    이 유식의 교의가 말의 의미에 대한 진술로서 간주될 때, 그것은 이 세계가 그대로 ‘말의 의미’로서 실재한다고 전제하는 학설들에 대한 강력한 반론의 성격을 띠게 된다. 유가행파는 세속의 언어적 관행에서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말의 의미를 실체화하는 경향이 있고, 그것이 모든 실재론적 집착의 기점이 된다고 보았다. 유식의 교의는 바로 하나의 말과 그 의미는 우리가 집착할 만한 견고한 실재가 아님을 일깨워준다. 따라서 이 교의를 따르는 유가행자들은, 유가지관 안에서 한편으로는 말 자체와 의미의 세계에 대한 포괄적이고 전체적 지식을 추구해가면서, 다른 한편으로 말과 의미를 실체화하는 모든 종류의 집착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켜가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significance of śamatha-vipaśyanā of Yogācāra is that it has strong arguments against theories based on ‘this world exists just as the meaning of word’. The śamatha-vipaśyanā of Yogācāra is to think of Doctrine (敎法), in detail, the contemplation of Dharma (法) and Artha (義). Here, Dharma is to Artha as word is to meaning.
    At first, the essence (體) of Doctrine (敎法), which Buddha preached, was about the specific phoneme features from his sound, that is, Nāman or Name (名), Pada or Phrase (句), and Vyañjana or Phoneme (文). So, to know the dharma means to exactly understand what distinctive functions Nāman, Pada, and Vyañjana have in the process of showing A meaning.
    In the second place, the contemplation into the nature of ‘Artha’ suggests a new prospective, which gives an innovative way and also accedes the view of the early Buddhism. The Yogācāra School accepts the viewpoint of early Buddhism that the thing represented by A word is the image (影像) of the object that appears in the mind, not the object itself. Therefore, to know the meaning of a word (語義) is to know about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word.
    However, the Yogācāra School insisted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word’ did not come from the outside of the world, but ‘the Mind-Only (唯識)’. Since then, the thought of this school was separated from the previous ones. According to the Yogācāra School, it is not only likely to contemplate ‘the image in Samādhi (三摩地影像)’ appearing as the meaning of doctrine, but also understand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a word in our daily minds (=distracted minds). Both cases are not basically different. This is the doctrine of ‘the Mind-Only (唯識)’.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