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하여 반야 공관(般若空觀)을 선양한 학파로서 후에 유식(唯識)을 설하는 유가행파(瑜伽行派)와 함께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사상이 되었다. 《중론》의 설은 모든 존재가 연기성(緣起 ... )인 지관(止觀)의 실수를 사상적으로 정립한 《마하지관(摩訶止觀)》 《법화경》을 독자적인 사상으로 해석한 《법화문구(法華文句)》의 이른바 을 편찬하였다. 이것은 중국?한국?일본 ... 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들 대상을 각각 다시 열 가지 방법(十乘)으로 관찰한다. 즉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 기자비심(起慈悲心), 교안지관(巧安止觀), 파법편(破法遍), 식통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