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가경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과정에 대한 구조적 검토 (The Constructional Analysis on the Process of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in Yoga-Sūtr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2
24P 미리보기
요가경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과정에 대한 구조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3호 / 335 ~ 358페이지
    · 저자명 : 김순금

    초록

    불교를 제외하고 인도철학에서 마음에 관한 문제를 가장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것은 요가철학이다. 그 가운데서도 요가경Ⅰ장 2절의 슐로까인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는 요가의 정의 이자 요가경의 핵심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이해되고 있다. 그렇다면 왜 그런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을까. 과연 그렇게 보는 근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로 이 점을 설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 몇 가지 점에 관한 해답을 구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요가의 정의와 그에 따른 citta의 의미와 범주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여기에 따라 citta를 인식론적으로 볼 것인가 존재론적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 될 것이며, 또한 그 두 가지 관점이 어떻게 다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볼 때 요가경 전체가 Ⅰ장 2절 풀이로서 그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풀어가면서 논자는 그 결론적인해석을 다음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마음은 존재론적이 아닌 인식론적으로 해석해야한다는 것. 둘째, 다수의 puruṣa를

    인정하는 요가철학 체계라는 점. 셋째 인중유과론(satkāryavāda)에 근거를 둔 이론 체계라는 것이다. 다수의 개별 뿌루샤를 인정한다는 것은 개별 적으로 영혼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자가 목표로 향해야할 무언 가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 개별적인 목표야 말로 요가철학이 전해주는 지향점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원인가운데 결과가 있는 인중유과론적인 이론 체계이기 때문에 마지막 지향점은 하나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서 결국은 인도 전통 사유와 맥을 닿게 하고 있는 것이다. 요가 철학이 가진 이 세 가지 중심테마를 염두에 두면 왜 요가경에서 그렇게 마음의 의미를 중시하면서 세 가지를 하나로 합해서 citta로 했을까를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요가경 전체에 걸쳐 제시되고 있는 마음의 영역 각각에 해당되는 수행 방법의 제시는 요가경이 정밀한 체계적 구조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Yoga philosophy is the most profound theory in regard to a subject of mind except Buddhism in Indian Philosophical tradition. Especially the aphorism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in Yoga sutra Ⅰ-2 is to be considered as a definition as well as a main point that can be understood traditionally. The questions should be raised that what is the reason of it and from where the theoretical sources come out then.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questions I suggested as such. To deal with it, We must try to solve a few matters as follow. Firstly, the meaning of mind-field(citta) and category of it, which is called ‘inner instrument’-buddhi, ahamkara and manas. Secondly, what is the viewpoint of arguing the subject, such as ontological or epistemological aspect accordingly. Thirdly, what 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guments and the reason of it questioned the above. The controversy reach that the matter of constructional analysis is up to the phrase of Yoga sutra Ⅰ-2 in the direction of sorting out a whole 195 aphorisms of Yoga sutra. Consequently, we can epitomize the understanding of yoga sutra in three characteristics. First, one should consider a citta in aspect of epistemologically rather then ontological. Second, Yoga philosophy accept a plural puruaṣa unlike any other indian philosophy. Third, The theory of satkāryavāda(doctrine of the pre-existent effect) is a fundamental system of Yoga along with sāmkhya. An assumption to have a plural puruaṣa means that each person has one’s own sole which lead to one’s final direction is different each other accordingly. A personal goal is the one that Yoga philosophy should have suggested.
    I finalize an argument with that of the reason why concept of mind- field(citta) in a category of ‘inner instrument’ should be emphasized. I found that 195 aphorisms in Yoga sutra are sorted out the way how to practice mind- field according to one’s capacity. This is to propose that Yoga sutra has a constructio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ocess of yogaś cittavṛttinirodhaḥ.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