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고찰 (Colonoscopic Perforations: 4 Years’ Experi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1
5P 미리보기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Endoscopy / 38권 / 1호 / 9 ~ 13페이지
    · 저자명 : 서정혁, 김진승, 이광찬, 고진철

    초록

    목적: 최근 한국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악성종양, 용종, 게실염 등 대장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대장내시경의 시행 횟수의 증가로 불가피하게 늘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 소화내시경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 대장천공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해 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내에 총 5,254예의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11예(0.2%)에서 대장천공이 발생하였다. 남녀비는 7:4이며 진단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이 6예(0.13%)이며 치료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은 5예(0.82%)이다. 11예 모두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복막 또는 후복막 자유공기가 관찰되었으며 천공의 위치는 에스결장이 8예로 가장 많았다. 7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4예에서 내과적인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천공 크기의 평균은 수술적 치료군에서 10.71±4.03 mm, 보존적 치료군에서 7.75±3.30 mm이다. 진단까지 소요된 시간의 정중치는 수술적 치료군에서 6시간, 보존적 치료군에서 11시간이다. 진단 직후 11예 모두 금식 및 병합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군의 수술 방법으로 일차봉합술이 5예, 분획절제술이 1예 그리고 하트만 술식이 1예이다. 진단적 내시경 후 발생한 천공을 수술적으로 치료를 시행한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발생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요 합병증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전반적인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있으며 천공 부위가 큰 경우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면 보존적 치료실패 후 발생되는 수술의 어려움 및 합병증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겠으며,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경미하거나 천공의 크기가 작고 장정결상태가 양호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및 이환율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Many physicians agree that colonoscopy is the best modality for either the diagnostic evaluation or use in therapy for colorectal disease. Although the incidence of perforations that occur after colonoscopy is low, the increasing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may pose a relevant health problem with including the often lethal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erf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Modern Korean society has adopted westernized dietary habits, and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colorectal disease such as colorectal cancer, polyps and diverticulosi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complicated by colon perfora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patients’ demographics, the purpose of colonoscopy, the location of the perforation, the management and the outcom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5254 patients underwent either a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y procedure during four consecutive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s (0.2%) were diagnosed in 11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Perforations occurred in six patients during a diagnostic colonoscopy and these occurred in five patients during a therapeutic colonoscopy. Free air in the peritoneum or retroperitoneum was seen in all the patients, as depicted on plain X-ray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and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One of the 11 patients with a perforation expired on postoperative day 47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Conclusions: The rate of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 is still very low. Although perforation is a very serious complication and it can be a lethal malady,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are very critical factors to optimize the patient outcome. Although a gold standard therapeutic mod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atients who present with the signs and symptoms of generalized peritonitis are recommended to undergo early surgical inter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linical Endoscop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