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웅진말기 정국안정과 『涅槃經』 (Settlement of Administration During the End of Woongjin Era in Baekje and 『Nirvana sutra(涅槃經)』)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백제 웅진말기 정국안정과 『涅槃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한백제문화 / 34권 / 36 ~ 62페이지
    · 저자명 : 길기태

    초록

    무령왕은 웅진기 왕실이 혼란이 지속되던 시기에 즉위하고 있다. 웅진기 백제의 왕실은 동성왕대 잠시 안정을 찾는 듯하였으나, 동성왕의 시해는 또 한 번 왕실에 혼란을 가져왔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왕위에 오른 무령왕의 당면 과제는 정국의 안정을 통한 왕실의 혼란을 종식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무령왕은 즉위 후 대내적으로 경제기반의 확충 및 농업노동력 확보 등을 통한 내정의 안정을 추구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양과의 외교관계를 강화하는 한편으로 고구려와의 전투를 통해 한강유역으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가야지역의 영토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국안정의 사상적 기반으로 『열반경』이 주목된다.
    무령왕이 즉위하던 시기 동아시아는 『열반경』이 사상적 대세로 자리하고 있었다. 중국 남조의 양은 물론 고구려도 승랑의 사상에서 알 수 있듯이 『열반경』이 수용되어 전개되고 있었다. 『열반경』에서 강조하는 것이 佛身常住의 사상이며, 이는 佛性論으로 연결된다. 무령왕은 이러한 사상적 내용을 백제에 적용하고자 하였을 것으로 본다.
    양 무제도 통치의 사상적 기반을 『열반경』에 두고 있었다. 『열반경』은 양 무제가 주장하는 「신불멸론」 사상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신불멸론」은 전통사상은 물론 유가와 도가도 포용하는 사상적 개방성을보여준다. 당시 토착신앙은 물론 유교와 도교가 불교와 공존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된다. 이러한 양 무제의 「신불멸론」의 기조는 백제에서도 전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무령왕과 성왕 대에 토착신앙은물론 유교와 도교가 불교와 공존하는 모습에서 추론된다.
    『열반경』의 불신상주는 恒常性의 다른 말이다. 그리고 무령왕의 骨族意識 강조는 항상성과 관련이 있다. 무령왕의 골족의식 강조와 항상성의 관련성은 무령왕의 태자 淳陀란 이름을 통해서도 추론된다. 순타는 『열반경』의 순타품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반경』의 항상성은 정국을 안정시키는 사상적 배경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King Muryeong inaugurated when the chaos of the Era of Woongjin persisted. The administration tended to stabilize during the reign of King Dongseong, but the assassination of King Dongseong created a turmoil in the palace once again. King Muryeong confronted a challenge to settle the administration when he was inaugurated.
    King Muryeong externally pursued a hard-line policy. He reinforc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Liang Dynasty and attempted to broaden the territories to the Han River area by battling against Goguryeo. He also intended to secure territories in the Gaya region. He studied 『Nirvana sutra(涅槃經)』 for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o settle the administration.
    When King Muryeong was inaugurated, 『Nirvana sutra(涅槃經)』 was the mainstream philosophy in East Asia. The Liang Dynasty of southern China and Goguryeo had adopted 『Nirvana sutra(涅槃經)』 as you can see i 『Nirvana sutra(涅槃經)』 emphasizes “Buddha in the Body (Bulsinsangju)" whn the philosophies of Seungnang. ich relates to the Theory of Nature of Buddha. King Muryeong intended to apply the relevant principles to Baekje.
    Wudi Liang(梁武帝)'s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dministration was also 『Nirvana sutra(涅槃經)』 . 『Nirvana sutra(涅槃經)』 was related to Wudi Liang(梁武帝)'s 「Theory of Invincibility of Soul(神不滅論)」. Also, the 「Theory of Invincibility of Soul(神不滅論)」 showed the philosophical openness to adopt the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even Confucianism and Taoism. At that time, native religions allowed Confucianism and Taoism to coexist with Buddhism. It seems that the 「Theory of Invincibility of Soul(神不滅論)」 was adopted by Baekje, considering that Buddhism coexisted with not only with the native religions but also with Confucianism and Taoism,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and King Seong in Baekje.
    “Buddha in the Body (Bulsinsangju)" of 『Nirvana sutra(涅槃經)』 is another name for constancy. Also, King Muryeong's emphasis of Royal class(骨族意識) was based on constancy. The relativity between King Muryeong's emphasis of Royal class(骨族意識) and constancy can be assumed by the name of King Muryeong's prince, Sunta. Sunta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Suntapum(純陀品)」 of 『Nirvana sutra(涅槃經)』. Also, constancy of 『Nirvana sutra(涅槃經)』 becam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settlement of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