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허의 『법화경』 번역과 그 입장 (Ven. Un-heo's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and his Perspec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6
31P 미리보기
운허의 『법화경』 번역과 그 입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21호 / 69 ~ 99페이지
    · 저자명 : 차차석

    초록

    근세 한국불교계에서 역경의 화신으로 추앙받았던 운허는 1972년 한문본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이것을 보완해서 1994년도에는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한글 『법화경』을 출간했다. 본고는 운허가 번역한 한글『법화경』에 대해 몇 가지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는 매우 전통적인 사고에 입각해 『법화경』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법화경』 전체를 이등분하고, 그것을 체용의 논리에 입각해 이해하고자 했던 것은 道生 이래 전개되는 중국의 『법화경』 연구가들에게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일이다. 특히 三周說에 입각해 『법화경』을 설명하는 것은 중생들의 근기가 다양하고 삶의 방식이 일률적이지 않은 현실을 전제한 것이다. 운허는 그런 점을 수용하여 『법화경』을 해제하고 있다. 그런 점은 특히 천태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운허의 『법화경』에 대한 입장은 천태사상의 영향에 머물러 있는 것만은 아니다. 묘법이나 불성을 해석할 때 스며들어 있는 화엄이나 선사상의 영향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은 한국불교의 전통과도 무관하지 않다. 화엄과 선의 융합은 이미 한국불교사상의 핵심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러한 사상적 전통은 『법화경』을 번역하고 이해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운허가 번역한 한글 『법화경』은 읽는 사람들을 고려한 배려의 따스함이 스며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동국대 출간본은 법보원 판본을 수정 보완했다는 점에서는 보다 완벽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소박하고 토속적인 번역어를 음역으로 많이 바꾸었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퇴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수많은 판본의 『법화경』이 출간되어 있다. 아마 그 母本 중의 하나가 운허가 번역한『법화경』이라 볼 수 있다. 그만큼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이 크다. 보다 쉽고, 그러면서도 일상적인 용어를 활용해 『법화경』을 번역하는 것은 한국불교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 중의 하나라 본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는 한글로 번역된 경전이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한문을 음역만 하거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경우가 그렇다. 오히려 운허처럼 일상에서 우리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잘 살려 번역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중과 유리된 불교, 대중들의 종교적 감성을 승화시켜주지 못하는 번역은 진정한 의미에서 번역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영어초록

    Ven. Un-heo, a great priest translator of th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The Lotus Sutra(Chinese edition) into Korean, in 1972. Based on it, the Institute for transla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University published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199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looking into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depth. This edition seems to understand it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thought.
    Dividing The Lotus Sutra into two groups and understanding it in Cheyong(Substance and Function:體用) was common among the researchers of The Lotus Sutra in China since Daosheng(道生). In particular, interpreting The Lotus Sutra, based on Samjuseol(三周說), is premised on the fact that sentient beings's ability is different and their way of life is also not same. Actually, Ven. Un-heo accepted such a perspective and interpreted The Lotus Sutra, which appears to be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However, Ven Un-heo's perspective seems to be not only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but also by Hwaeom(華嚴: the Dharmadhatu) and Seon(禪) thought in interpreting the marvelous Dharma and Buddha-nature,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Korean tradition. Above all, Hwaeom and Seon is the core of Korean Buddhist thought.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ranslating and understanding The Lotus Sutra.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gives a feeling of warmth and care to the reader. While Dongguk University edition is more perfect in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Beopbowon edition, it is evaluated a little bit a backward step because of translating simple and native translating language into transliterating one.
    In fact, there are many translating editions of The Lotus Sutra. But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may be one of parent bodies. It is contributable to his good translating by the use of common language used in our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