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경탐현기』의 진여론 구도 (The structure of Suchness in Huayanjingtanxuanj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06
23P 미리보기
『화엄경탐현기』의 진여론 구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2호 / 177 ~ 199페이지
    · 저자명 : 조배균

    초록

    본고는 법장(法藏, 643-712) 저술의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의 진여론(眞如論) 구도를 화엄오교판(華嚴五敎判)의 시각에 따라 고찰하며, 『탐현기』의 진여 논의가 삼승(三乘)과 일승(一乘)으로 격별(格別) 되는 사실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탐현기』 1권의 진여로써 교체(敎體)를 논하는 회연입실문(會緣入實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탐현기』 13권의 십중유식설(十重唯識說) 논의와의 비교를 시도했다. 이를 통하여 교체론 구조 속에서 회연입실문 논의는 삼승의 유식설인 여래장 유식설과 같은 성격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탐현기』 8권의 여상회향(如相廻向) 논의에 등장하는 진여의 석명(釋名), 종류(種類), 덕용(德用), 일승진여(一乘眞如)와 삼승진여(三乘眞如) 등의 논의를 탐색하며, 일승의 진여 이해는 사사무애적(事事無礙的) 성격임을 해명하고자 했다. 또한 『탐현기』 전체의 ‘眞如’ 용례 가운데 화엄오교판이 명시된 논의에서는 삼승의 진여 논의와 일승인 원교(圓敎)의 논의는 서술방식에서부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삼승의 논의에서 ‘眞如’라는 문구를 명시하며 논의를 전개하는 반면, 일승인 원교의 논의에서는 진여를 명시하지 않고 일즉일체(一卽一切), 주반구족(主伴具足), 원융무애(圓融無礙) 등의 화엄학 교의를 통한 논의 전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법장의 교상판석에서 오교판(五敎判) 계열인 이러한 『탐현기』 진여론의 특색을 활용하여 차후에 사종판(四宗判) 계열인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 등의 진여 논의와 비교한다면, 법장의 진여 이해의 전체적 특색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Triyana(三乘) and Ekayāna(一乘) of the theory of Suchness(眞如) in Huayanjingtanxuanji(華嚴經探玄記). Analyzing the Suchness on Huiyuanrushimen(會緣入實門) as compared with Ten-fold Conciousness-only(十重唯識), the character of this discussion turns out to be non-obstaructional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on(理事無礙的). And analying the usage of Suchness in Huayanjingtanxuanji, this paper showed the different comprehension between the three vehicle’s teaching(三乘敎) and the one vehicle of the complete teaching(一乘圓敎). The one vehicle of the complete teaching is Subsume-transcendent teaching on the discussion of Suchness which covers the three vehicle’s teaching. The meaning of Suchness understood by the one vehicle of the complete teaching stands the viewpoint of non-obstruction between phenomena(事事無礙). It includes the view of non-obstaruction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on(理事無礙) which the three vehicle’s teaching basically stands. The one vehicle of the complete teaching gets over the three vehicle of the teaching by Huayan thought’s logic like One is all(一卽一切), Complete combination non-obstruction(圓融無礙) and so 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one vehicle’s concept on Suchness should be distincted from the three vehicle’s conc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