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경원선 철도의 창동역― 벚꽃놀이와 하이킹의 창구 ― (Changdong Station (倉洞驛) of the GyeongwonLine (京元線) in the Japanese Colonial Era:Gateway to the Cherry Blossom Viewing and Hiking)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4
3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경원선 철도의 창동역― 벚꽃놀이와 하이킹의 창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도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21호 / 37 ~ 69페이지
    · 저자명 : 최인영

    초록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벚꽃놀이와 하이킹의 창구로 기능한 경원선 철도 창동역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1911년 영업을 시작한 창동역은 봄・가을로 경성의 행락객들이 찾는 철도역이었다.
    경원선 철도는 조선시대 경흥로를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경흥로는 동북지방의 두만강 연안으로 이어지는 군사상 중요한 도로였는데 이 도로에는 국가의 교통・통신을 담당한 역과 여행객들의 숙식을 제공하던 원이 있었다. 도성에서 수유리 고개 너머에 있던 누원점은 동북상인과 물산이 모이는 장소였다. 하지만 개항 이후 1896년에 역원제가 폐지되면서 기존의 경흥로는 경원선 철도로 일부 대체되었다.
    이 경원선 철도는 원산에서 일본과 러시아의 각 항구까지 항로로 이어졌고, 경성에서 경인선 철도로 서해안의 항구인 인천에 닿아 있었다. 또한 경부선의 대전에서 분기한 호남선을 따라 서남해의 항구인 목포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었다. 이처럼 경원선 철도는 동해와 서해를 이어주는 횡단간선철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1911년 경원선 철도의 용산에서 의정부 구간이 먼저 개통되면서 창동역은 용지면적 3만 평, 건물 3동의 작은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창동역은 ‘조선 유일의 관앵명소 우이동’까지 걸어서 1시간 거리에 있었다. 우이동에 식재된 벚나무는 군수물자인 활의 재료로 심어졌다는 설과 우이동에 살던 홍양호가 일본에 다녀온 통신사에게 부탁하여 일본산 벚나무를 심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이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찾을 수 없지만, 1910년대 경성에서 벚꽃놀이가 가능한 곳은 우이동이 유일했다. 1912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우이동의 벚꽃 관앵 임시열차를 남대문역(현 서울역)에서 창동역까지 왕복 운행하였다. 1920년대 들어 경성의 창경원, 남산공원, 장충단에서도 벚꽃놀이가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봄이 되면 우이동 벚꽃은 만발하였고 창동역을 찾는 행락객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았다.
    1930년대에는 가을철 하이킹을 위한 행락객들이 창동역을 찾았다. 창동역은 북한산 기슭에서 가깝고 동북부의 도봉산과 수락산이 바라보이는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하이킹 코스의 시·종착점이었다. 행락객들은 창동역을 통해 경성의 동북부에 위치한 산들과 연결되었고, 창동역은 이들을 향해 열려 있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경성 근교지역에 위치한 경원선 철도의 창동역은 우이동 벚꽃놀이와 도봉산・수락산 등을 찾는 행락객들의 철도역이었다.

    영어초록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Changdong Station on the Gyeongwon Line, which functioned as a gateway for cherry blossom viewing, and hik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angdong Station, which began operating in 1911, was a railway station visited by travelers in Gyeongseong (京城, Seoul), every spring and fall.
    The Gyeongwon Line was built using Kyonghung Road (慶興路),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Kyonghung Road was a vital military road to the Tumen River (豆滿江) coast in the northeastern districts, and on this road was a station(驛) that served as a hub for national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a public inn(院), that provided accommodation for travelers. Beyond Suyu-ri (水流里) hill in the capital city of Nuwaonjeom (樓院店) was a place where northeast merchants and local products intersected. With the abolition of the Station-Public Inn system (驛院制) in 1896, the local economy declined, and the existing mode of transportation was replaced by railway transportation.
    The Gyeongwon Line operated from Wonsan (元山) to the ports of Japan and Russia, reached Incheon, a port on the west coast via the Gyeongin Line (京仁線) railway from Gyeongseong, and was indirectly connected to Mokpo (木浦) port of the southwestern along the Honam Line (湖南線), divided in Daejeon(大田) on the Gyeongbu Line (京釜線). Like this, the Gyeongwon Line railroad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traverse main-line railway, connecting the West Sea, and the East Sea. In 1911, when the Uijeongbu (議政府) section was opened in Yongsan (龍山) on the Gyeongwon Line, Changdong Station was opened as a temporary station, with a lot area of 30,000 pyeong (坪), and three buildings. At that time, Changdong Station was a one-hour walk to ‘Korea’s only cherry blossom attraction (觀櫻名所), Ui-dong (牛耳洞)’. According to rumors, cherry blossom trees were planted in Ui-dong, as ingredients for the bow which is a military supply, and Hong Yang-ho (洪良浩), who lived in Ui-dong, asked Joseon missions to Japan (朝鮮通信使), to plant cherry blossom trees from Japan. No official records of this have been found. But Ui-dong was the only place where cherry blossom viewing was possible in Gyeongseong during the 1900s. In 1912, the Office of Railways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ade a round trip from Namdaemun Station(currently Seoul Station), to Changdong Station, on temporary trains for cherry blossom viewing in Ui-dong. Cherry blossom viewing was also available in Changgyeongwon (昌慶園), Namsan Park (南山公園), and Jangchungdan (奬忠壇) of Gyeongseong during the 1920s. But in spring, cherry blossoms in Ui-dong were in full bloom, and travelers to Chang-dong Station continued to view cherry blossoms.
    In the 1930s, travelers wanting to hike during the fall, visited Changdong Station. Changdong Station was a key point along the hiking trail, as it was close to the foot of Bukhan Mountain (北漢山), where travelers could see Dobong Mountain (道峰山) and Surak Mountain (水落山) in the northeastern quadrant. Travelers were connected to the northeastern mountains of Gyeongseong, through Changdong Station.
    Thus, Chang-dong Station, in the suburban area of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a railway station for travelers to Ui-dong’s cherry blossom viewing, Dobong Mountain, and Surak Mountain. Since rapid urbanization, however, Changdong Station has served as a railway station as well as a subway station, representing the northeast region of Seoul, along with Seoul Station, Yongsan Station, Cheongnyangni Station, Yeongdeungpo Station, and Susaek S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