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霽峯 漢詩의 寫景詩 (A study on Ko Gyoung-myoung's Sagyoung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02
24P 미리보기
霽峯 漢詩의 寫景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1호 / 137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은수

    초록

    이 논문은 霽峯 高敬命의 漢詩 중에서 寫景詩를 연구 검토한 것이다. 사경시는 화폭에 그림을 그리듯이 쓴 시를 말한다. 자연경물에 대해서 서술적인 표현보다는 시각적인 畫法을 중시한 시의 표현법이라고 할 수 있다. 敍景詩는 한시의 전통적 표현방법의 하나이다. 흔히 王維의 시에서 논의되고 있는 <詩中有畵>․ <畵中有詩>가 곧 그것이다. 제봉의 한시에서 ‘敍景’보다는 ‘寫景’ 을 강조하는 것은 「應製御屛六十二詠」 때문이다.
    고경명은 조선 明宗의 62폭 병풍에 題詩하는 영광을 누렸다. 그는 명종 17년(1562)에 임금의 小引이 기록되어 있는 御屛에 한 폭 한 폭의 그림의 내용에 맞추어 시를 지었다. 고경명의 敍景詩를 ‘寫景詩’라고 하는 것은 사경시가 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서경시는 단순한 경치를 서술한 것이라고 한다면, 사경시는 景致와 事物을 포함한다. 應製御屛의 시는 서경시가 많다. 그러나 그 중에는 봉황․솔개․오리․보라매 같은 조류나, 대나무․오동나무․갈대․매화․복숭아․들국화․벼이삭․여뀌꽃․월개화 같은 식물이나 꽃 같은 경물이 독자적으로 등장하는 작품도 많다. 따라서 이를 통칭하는 명칭은 사경시가 합당하다고 본다.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은 작품의 배경 속에 나오는 소재와 제재가 알맞게 조화를 이루면서 임금의 위엄이나 덕망과 태평성세 나라와 백성들의 안락한 생활을 그리고 있다.
    題畵詩는 御屛이 아닌 일반 서경의 작품을 그림을 보고 제화하듯이 쓴 작품들을 말한다. <蘆雁圖>․<漁舟圖>․<詠田家題畵障>같은 작품들이 그것이다. 王維의 작품을 두고 말하는 ‘詩中有畵’라고 할 수 있는 계열의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國朝詩刪』·『性所覆瓿稿』에서 가작으로 선집할 정도로 御屛의 작품에서 나타난 표현상의 한계를 극복한 문예성이 뛰어난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樓亭詩는 고경명의 시작활동의 무대였던 담양과 호남지방의 많은 정자에서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應製御屛詩나 題畵詩가 그림을 보고 쓴 시라면 이들은 산수 실경을 보고 쓴 작품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시들은 현장감에서 오는 활달함과 호방함을 느낄 수 있는 시작품들이다. <練光亭晩眺> 같은 작품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영어초록

    Jaebong, Ko Gyoung-Myoung(1533〜1592) was a famous poet in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Ko Gyoung-myoung's chinese poems, and aims to make an analysis of Sagyoung-poem(寫景詩, landscape-poem). Ko Gyoung-myoung's Sagyoung-poem is fore types First, Eungje-yobyoung-sixty-two poems(應製御屛六十二詠), was wrote by ask of Myoung-jong. These works are one of Jaehwa-poem(題畵詩, picture-poem), about a sixty-two fold screen. These Jaehwa-poems symboled king's authority, welfare of all the people, and comfortable retirement. Also, many works described natural beauty. Perhaps, he must have disciplined this important work in his early time.
    Second, Ko Gyoung-myoung's Sagyoung-poem is a purity Jaehwa-poem(題畵詩). These works are on his initiative lesson, because these poems are an orignal works.
    Third, Ko's work is Noojoung-poem(樓亭詩, pavilion poem). He wrote a lot of poems in pavilion, and interchanged many poets there.
    Forth, Noojoung-si take a major portion in interchange poem. But Sansoo-poem (山水詩, landscape poem) is a purity, spontaneous works. These works are a unique creation, dearest literary arts.
    In conclusion, Sagyoung-Poem which appears in Ko Gyoung-myoung's works has a scenery picture in poetry, on other hand, a poem in scenery pi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