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03
22P 미리보기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31호 / 241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조선시대 {노자} 주석의 특징은 ‘유학자의 노자 읽기(以儒釋老)’로 대표된다. 그러나 조선사상사 안에서 {노자} 주석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는 좀 더 미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 대립되는 {노자}의 ‘仁을 끊고 義를 버린다(絶仁棄義)’, ‘성인은 어질지 않다(聖人不仁)’ 등의 사유가 5종의 {노자} 주석서에서 어떻게 해석되는가를 살피고, 나아가 시대에 따른 해석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仁義’는 당대 사회의 윤리적 표지이며, 모두가 따라야 할 공동체의 선이었다. 이이․박세당․홍석주가 {노자} 텍스트 상의 ‘仁義’ 부정에 대해 儒者의 입장에서 비판하거나, ‘仁義’를 적극 변호한다면, 서명응과 이충익에 이르면 ‘仁義’는 ‘공공선’의 위상에서 벗어나, 판단 주체의 도덕적 자각이 요구되는 도덕률로 언급된다. 또한 율곡과 홍석주가 ‘天理의 公’으로서의 ‘仁義’의 추구가 ‘無私’라고 본다면, 이충익에게서 ‘無私’란 개체의 이익을 위해 仁義를 따르는 것을 반성해야 되는 상태이다. 이 때 반성의 주체는 사회공동체가 아닌 개인이다.
    요컨대 조선시대 {老子} 주석사 안에서 ‘도덕률’에 대한 인식변화는, 天理의 당위성이 강조되는 중세시기에서 근대로 넘어가면서, ‘공동체의 善’이 해체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이 안에서 개인은 도덕률의 순종자에서 도덕률의 판단 주체로 변모하였다. 서명응 이충익의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는 18세기 정치 이데올로기화 된 정주학에 대한 반성과 극복의 과정이 투영되어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show how the perception of heavenly principle(天理) and definition of individual desires(私慾) in the five commentaries on Daodejing(道德經) was changed over time. The five commentaries on Daodejing(道德經) composed during Chosŏn are 'Sooneon(醇言) by Lee, Yul-gock (李珥,1536∼1584), 'SinJoo-DoDuckKyung (新註道德經) - or New Commentary on Daodejing(道德經) - by Park, Se-dang(朴世堂,1629∼1703), 'Dodukjigi(道德指歸)' by Suh, Myoung-euing(徐命膺,1716∼1787), 'Chowondamro (椒園談老)' by Lee, Chung-ik(李忠翊,1744∼1816), and 'Jungro(訂老)' by Hong, Suk-joo (洪奭周,1774∼1842). The course of history in understanding the book, "Daodejing(道德經)," demonstrated that by the late of Chosŏ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notion of 'the moral law for the community' has changed. Neither Suh, Myoung-euing nor Lee, Chung-ik emphasized 'the necessity for the truth of the heavens.’Instead, they focused more on the 'individuals' who followed the moral law than the moral law itself. They did not see the individual desire as the object that had to be discarded. Within the context of this framework, the individual's role had changed from the person who had to be obedient to the law to the subject who judged the moral law all by him/herself. This process of breaking up ‘the goodness of the community’ led the Chosŏn Dynasty of the 18th century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In other words, it was the time when the introspection of the 'moral law' prevailed in the Chosŏn Dynasty occurred naturally and spontaneously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which implied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self-awareness’ or ‘the point of view on the individual's self-desire' was occurred in the context of academic development during the late Chosŏ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