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태지의와 『열반경』 - 『열반경』의 오미설과 사종설을 중심으로 - (Tiantai Zhiyi and the Nirvāna - sūtra - A focus on the five flavors(五味) and the four doctrines(四種說) in the Nirvana - sutra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천태지의와 『열반경』 - 『열반경』의 오미설과 사종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5호 / 103 ~ 130페이지
    · 저자명 : 지창규

    초록

    天台智顗(538-597)에게 『열반경』은 『법화경』과 비교해 어떤 경전일까. 오시 가운데제오시를 『법화경』과 함께하는 『열반경』은, 장통별원을 모두 함께 설하는 경전이므로純圓獨妙라 하는 『법화경』에 비해서는 비교적 낮은 정도의 경전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지의의 경전 평가는 언제나 상대와 절대의 두 측면에서 가해진다는 점에서, 지의의 『열반경』 평가가 종래에 알던 바와 같이 일방적으로 평가절하하는 태도는 아니라는 점은분명하다. 五時개현을 비롯하여 通別五時論이나 四敎一味의 개회론 등을 통해서나, 또 모든 대승경전에 삼종의 교상이나 지관이 다 설해져 있다고 하는 천태교상론을 통해서 두 경전은 우열의 차이를 갖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열반경』만의 고유한 성격마저 무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차이가 『열반경』의 존재의의를 드높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의는 『열반경』을 그의 교판이나 교관체계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것인가. 삼대부에 보이는 교판을 비롯하여 교상이나 지관의 중추적 구성은 의외로 『열반경』의 조직에 의지하는 바가 크다. 이런 점에서 전기의 저작과 비교해 보면, 전기의 저작이 『반야경』에 의해 구성되었다고 한다면 후기의 저작은 『열반경』에 의해 재조직되었다고 해도 할 만큼 전후기의 저작에는 『반야경』과 『열반경』이 대표하고 있다. 그래서그런지 삼대부에 의해 조직된 오시의 교판과 사교의 교관조직은 모두 『열반경』의 오미론과 사종론에 의해 조직되었다. 그리고 삼종교상이라 불리는 교판설도 『열반경』의 오미경문에 의거하는 것을 본다면 천태교판 및 교관의 체계는 『열반경』과는 불가분리의관계에 있다. 그렇다고 하여 교관조직을 모두 『열반경』에 의거한 것은 아니다. 사교와오시의 조직만을 『열반경』을 따른 것이고 그 구성에 따라 오시경전을 직접적으로 재배치한 것이다. 그럼에도 『법화현의』의 본령인 적문십묘를 보면 『열반경』의 교설에 의해조직된 것이 매우 많고, 또한 『마하지관』의 중추인 십승관법을 보더라도 『열반경』의 교설에 의해 조직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더구나 천태의 공가론에서 『열반경』의 四 不可說이나 四可說과 같은 논리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나, 일일이 열거하지 않더라도 『열반경』에 있는 많은 설과 비유를 인용하는 것을 본다면 천태체계의 측면에서 『열반경』 의 존재는 『법화경』보다 오히려 크다고 할 것이다. 천태가 그 사상을 『법화경』에 의거했다고 한다면 그 조직은 『열반경』에 의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천태교관은 법화사상과 열반조직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할것이다.

    영어초록

    Compared with the Lotus-sutra (法華經), how much important is the Nirvāna-sūtra (涅 槃經) to Tiantai Zhiyi (天台智顗 ; 538-597)?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which is included in the fifth period of the five periods with the Lotus-sutra (法華經)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 Lotus-sutra (法華經), because the Nirvāna-sūtra (涅槃 經) explains all the four types of content of Tripiṭaka, Shared, Distinct, and Perfect (藏通 別圓). However, it is obvious that Zhiyi had not underestimated the Nirvāna-sūtra (涅槃 經) since Zhiyi had estimated the sutras through relative (相待) and absolute (絶待)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disclosing the provisional and revealing the true for the five periods (五時開顯), a study of comprehension and distinction for five periods (通別五時 論), structural roles of secret (秘密敎) and variable methods (不定敎), and the Tiantai teachings that every Mahāyāna sutra explains the threefold methods of conversion (三種 敎相), we could figure out that Zhiyi treated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equally. Even so, he didn't ign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he differences of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How does Zhiyi utilize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n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敎觀體系)?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and the Forms of Meditation (止觀)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inthe three major commentaries of the Tiantai school (天台三大部) refers to many organizations of the Nirvāna-sūtra (涅 槃經).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periods,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fourfold teachings in the Tiantai tradition are organized from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敎觀體系) in the Tiantai school are inseparable from the Nirvāna-sūtra (涅槃 經). Moreover,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affected the ten subtleties of the derivative (迹 門十妙) of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sūtra (法華玄義) and the Ten Methods of Contemplation (十乘觀法) of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摩訶止觀).
    Furthermore, the doctrines of Emptiness (空) and Provisional Positing (假) in the Tiantai teachings use the logic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Given that the main aspects of Tiantai doctrine and practice refer to explanations and metaphors of the Nirvāna-sūtra (涅 槃經), we could say that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tus-sutra (法華經) in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the Tiantai.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idea of the Tiantai teaching is based on the Lotus-sutra (法 華經) and the organization depends on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t is safe to say that the Tiantai teaching consists of complementary the idea of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organization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