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태지의와 법화경 (T’ien-t’ai, Chih-i, and the Lotus Su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7
28P 미리보기
천태지의와 법화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1호 / 165 ~ 192페이지
    · 저자명 : 지창규

    초록

    『법화경』이 천태교관을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법화경』과 천태교관과의 관계는 불가분리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지의가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을 보면, 천태교관과 『법화경』과의 관계는 다소 애매해진다. 절대적으로 평등하게 바라보는 경전관을 반영하는 천태교관의 토대는 당시 강남과 강북에서 각각 『열반경』과 『화엄경』에 몰두한 교계의 풍토와는 아주 다른 것이다.
    사실 『법화경』이 천태의 교관체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골고루 나눠 쓴 지의의 공평한 분배력이 제대로 발휘된 까닭이다. 전불교를 질서세우면서 모든 경전을 개현(開顯)하는 사상을 구현한 것은 지의의 획기적인 탈종파적 발상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특히 경전을 외형적인 부류로만 구분하는 부판(剖判)이 아니라 경전 내부의 교상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교판(敎判)적 이해를 통해 가능한 것 같다. 천태교판은 법화뿐만 아니라 모든 대승경전에 원교의 교상이 담겨 있다고 보는 아주 새로운 방식의 교판설이다. 법화를 비롯한 여러 경전의 사상과 체계로 오시(五時)를 비롯하여 삼종교상 및 화의사교와 화법사교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경전을 부류로만 판단하여 우열논쟁에 빠져있던 교계에 경종을 울린 것은 천태 교판론의 승리로 보인다.
    지의는 법화삼매의 증득을 통해 『법화경』의 경의(經意)를 정확하게 읽었고 그것을 삼대부(三大部)로 구현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런 개현사상은 법화우월이 아니라 오히려 ‘탈법화’를 선언하게 되었고 그것으로써 그는 그때까지 누구도 해낼 수 없었던 통불교(通佛敎)를 구현해 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안타깝게 후대에 들어서면 지의의 본의와는 멀어지게 되어 경전 내부를 판석하는 교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부판으로만 치달아 결국 경전의 우열만을 따지는 법화제호(法華醍醐)로 전락하게 된 것은 안타깝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영어초록

    As it is undeniable that the Lotus Sutra (法華經)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天台敎觀),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one may consider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m became somewhat ambiguous after Chih-i(智顗) actively used the principle of Complete Interfusion (圓融). The perspective of regarding every Sutra as equal that forms the basis of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Buddhism in the regions south and north of the Yangtze River in China, where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the Nirvana Sutra (涅槃經) and the Hua-yen Sutra (華嚴經).
    In fact,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not quite as great as one might think, mainly due to the fact that Chih-i showed fairness by equally distributing different Principles of Interfusion from several Mahayana Sutras in his works. Had it not been for the radical, boundary-breaking idea of the T’ien-t’ai,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establish the existing order of Buddhism and embody the idea that revolutionizes all the Sutras. This was done by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the Methods of Conversion in the Sutras, not by simply categorizing the Sutras as Buddhist resources. The T’ien-t’ai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天台敎判) is a whole new way of classification that represents not only the Lotus Sutra but all the other Mahayana Sutras (大乘經典) as containing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of the Complete Doctrine (圓敎). By using ideas and systems from the Lotus and other Sutras, the T’ien-t’ai established their ideas, including the Five Periods (五時), the Threefold Method of Conversion (三種敎相), the Fourfold Method of Conversion (化儀四敎), and the Fourfold Doctrine of Conversion (化法四敎). Hence, it seems like a great achievement for the T’ien-t’ai Theory of Classification to raise the alarm for Buddhists that time, who mistakenly regarded the Sutras as types of Buddhist teachings and were preoccupied with discussing their merits and demerits.
    By mastering the samahdi of the Lotus Sutra (法華三昧), Chih-i accurately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Lotus Sutra and devoted himself to embodying them in the Three Scriptures (三大部). This idea of enlightenment declared a separation from the Lotus Sutra rather than insisting on its superiority. Thanks to this, Chih-i became the very first person to manifest the Shared Buddhism (通佛敎). Nevertheless, it is a shame that after so many generations Buddhism has drifted away from what Chih-i intended, and now has no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which classifies the inner teachings of the Sutra, instead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discuss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Sutras, to the point of falling into the Fifth Flavor(醍醐)-Centr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