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胎藏에 관한 硏究 - 『대일경』ㆍ『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Garbha-koṣ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2
17P 미리보기
胎藏에 관한 硏究 - 『대일경』ㆍ『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1호 / 133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영덕

    초록

    如來藏이란 공사상이라는 기본적 토대 위에서 성립한 사상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설파함으로써 일반 대중들을 鼓舞시키고자 설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은 이미 초기불교에서부터 부파불교를 거쳐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인 형성과정이 있었다. 더 나아가 밀교에 이르러 『大日經』에서 胎藏이라는 譯語를 볼 수 있다. 여래의 理性은 일체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면서 大悲로 말미암아 길러지는 것이 마치 태아가 母胎 안에 있는 것이나 연꽃의 씨앗이 꽃 속에 숨겨져 있는 것과 같으므로 이러한 비유로 태장을 설명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胎藏이라는 譯語를 중심으로『대일경』 특유의 여래장사상과 그 만다라적 전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태장이란 바로 어머니의 사랑에 의해 아이가 잉태되어 길러지는 것처럼 여래의 大悲로 인해 보리심을 발하고 三密의 修行을 통하여 구경의 경지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태장으로 표현된 『대일경』의 如來藏說은 一切皆空이어서 번뇌가 空하며 중생 모두의 성불 가능성을 확인하는 본래적인 입장보다는 혼탁한 번뇌를 제거한다는 작용성에 중점을 두면서 설해지고 있다. 그 작용이 加持라고 하는 것이며, 三密이라고 하는 구체적 행법이다. 태장은 물론 여래장에 속하는 개념이기는 하되, 여래장이 정적으로 멈추어 있음에 비하여 곧 태아로써 출생과 성장을 전제로 한 不斷한 운동성의 상태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서 대승의 이론적인 법신의 여래장사상이 수용신의 개념을 포함한 태장이 되면서 밀교에 와서 구체적인 형태로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철저하게 『대일경』 초두에서 설하는 삼구법문이 구현되어 있다. 태장만다라는 수행자가 向上해 나아가는 궤적만이 아니라 두루 6趣의 중생들을 위해 神變加持라는 방편을 구현하는 向下적 궤적을 그려내보인 것이기도 하다. 여래장설을 중심으로 하여 여래장에서 출발하는, 그리고 다시 여래장으로 되돌아오는 內證과 外證, 自利와 利他의 과정을 도상화시켜 나타낸 태장만다라는 대승의 여래장사상을 우리의 몸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어가는 양상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三句法門의 구현이라는 작용에 방향과 색채라는 구체적 상징성이 부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을 통하여 중생의 三密로서 身口意를 맑혀 三密相應을 완성하게 되었을 때에 자연스럽게 여래의 방편을 구족하고 펼쳐지는 것이 바로 태장만다라이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로는 수행자가 행하는 有相三密이 三句法門에서 설하는 구경방편과 전혀 다르지 않은 것으로서 여래장과 법신이라고 표현방법이 다른 것과 동일한 양상일 뿐이다.

    영어초록

    Theory of Tathāgata-garbha gets embodied in terms of garbha in Mahāvairochana Sūtra, in which teaching of Tathāgata-garbha is being preached with its focus on the functioning of removing corrupt afflictions rather than its original standpoint on every afflictions are emptiness(sunya).
    The functioning is said to be adhiṣṭhāna, and it's also a specific method of self-training, which is the 'three secrets'.
    Garbha is just like the babies are conceived in their mother's womb and then raised by her love and care. As the Tathāgata's Mahakaruna leads to the mind of bodhi, and the ultimate state could be reached through the practice of mantra, it becomes the maṇḍala born out of Mahākaruṇāgarbha. It shows by painting not only the trace of wheels boosting trainees' self-training state but the trace of wheels downward to realize expedients(upāya) for sentient beings of the six realms of existence as well.
    Also Garbha-koṣa-maṇḍala expresses the aspects realizing the idea of Tathāgata-garbha of Mahāyāna Buddhism, centering on our body.
    Garbha-koṣa-maṇḍala is embodied by picturing the process the perfecting of self for perfecting others, which starts from Tathāgata-garbha centering on. Tathāgata-garbha's preaching, and again turns back to Tathāgata-garb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