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摩訶止觀』의 觀不可思議境에서 四不生의 適用에 관한 硏究 - 地師와 攝師의 批判 및 受容과 관련해서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Four No-originations[四不生] to Viewing Inconceivable Reality[觀不可思議境] in Mahezhiguan[『摩訶止觀』])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0.08
26P 미리보기
摩訶止觀』의 觀不可思議境에서 四不生의 適用에 관한 硏究 - 地師와 攝師의 批判 및 受容과 관련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5호 / 219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승남

    초록

    『摩訶止觀』의 觀不可思議境에서 三千法을 갖춘 마음을 四不生의 관법으로 관하여 中道에 들어가는 것에 대하여 설하고 있다. 먼저 天台는 三千法을 갖춘 마음에 대하여 四不生을 적용하여 不可得임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法性이 一切法을 생한다고 하는 地師와 黎耶가 一切法을 생한다고 하는 攝師를 비판하고 있다. 그렇지만 四悉檀의 因緣이 있다면 三千法을 갖춘 마음이 생한다고 설할 수 있다. 특히 心生一切法과 緣生一切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곧 地師와 攝師의 견해를 수용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因ㆍ緣ㆍ共ㆍ離의 四生으로 설하는 것은 中道를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이다. 天台는 모든 經과 論에 中道의 뜻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것은 곧 天親이 지은 『十地經論』과 無著이 지은 『攝大乘論』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法性이 一切法을 생한다고 설하는 것과 黎耶가 一切法을 생한다고 설하는 것을 통해 中道에 통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天台는 地師와 攝師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비판하거나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도적 입장에서 비판과 동시에 수용을 하고 있다.

    영어초록

    It is said to enter the Middle Way[中道] by applying the Four No-originations[四不生] of Nāgārjuna[龍樹] on the mind comprising the three thousand dharmas within Viewing Inconceivable Reality[觀不可思議境] in Mahezhiguan[『摩訶止觀』]. First of all, Zhiyi[智顗] says the impossibility of origination of the mind comprising the three thousand dharmas by applying the Four No-originations[四不生]. In this sense Zhiyi[智顗] criticizes the teachers of Dilun Order[地師] who insist that Dharmatā[法性] produces everything and the teachers of Shelun Order[攝師] who maintain that Ārya[黎耶] makes everything. However if there is a relation of Four Siddhānta[四悉檀] it could be said the origination of the mind comprising the three thousand dharmas. Especially it's possible to be said the mind produces everything and the condition makes everything. This means that the opinions of both the teachers of Dilun Order[地師] and the teachers of Shelun Order[攝師] are accepted. The saying with Four originations[四生] is a means for entering the Middle Way[中道]. Zhiyi[智顗] talks that both every sutra and all bodhisattva's comments have the meaning of the Middle Way[中道]. According to it, it is also said that within Shidijinglun[『十地經論』] and Shedachenglun[『攝大乘論』] we could find the meaning of the Middle Way[中道]. With the saying that Dharmatā[法性] produces everything and Ārya[黎耶] makes everything we could enter the Middle Way[中道]. As you know, Zhiyi[智顗] does not one-sidedly criticize and accept the opinions of both the teachers of Dilun Order[地師] and the teachers of Shelun Order[攝師], but simultaneously criticize and accept them in the position of the Middle Way[中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