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기의 반야경 교판(敎判)과 사분설(四分說)에 대한 원효의 비판적 견해 (Wŏnhyo's Critique on Kuiji's Classification of the Prajñāpāramitā-Sūtras (般若經) and his Statement of the Four Parts of the Mind(四分說))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2
21P 미리보기
규기의 반야경 교판(敎判)과 사분설(四分說)에 대한 원효의 비판적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72권 / 41 ~ 61페이지
    · 저자명 : 이민성

    초록

    [연구 목적] 원효(617~686)가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에서 다루는 주된 주제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내용] 대혜도경종요 5장 판교(判敎)에서 원효는 반야경 또한 최상의 가르침인 무자성(無自性)을 논한다고 주장하는데, 이 주장이 반야경을 폄하하는 규기의 해석을 비판하는 것임을 밝힌다. 또한, 대혜도경종요의 2장 경종(經宗)의 마지막 부분인 합명이종반야(合明二種般 若)에서 원효는 유식 교학인 사분설 중 제4분인 증자증분(證自證分)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논하는데, 이 역시 규기의 학설에 비판적 견해를 피력한 점이라는 것을 고찰한다. 이 결과와함께 대혜도경종요 내 인용문의 분포 및 빈도를 분석하여 원효가 현장 이전 시대의 교학 해석으로 돌아가려 한 의도가 있었다는 것을 논증한다. 대혜도경종요의 핵심은 경의 종지를 밝힌 2장 경종과 반야경 교판에 대해 논한 5장 판교인데, 이들 장에서 원효가 자신의 주장을할 때 논거로 쓴 문헌은 모두 5~6세기의 번역 및 저술서이다. 즉, 다른 논자의 주장을 소개하거나 규기의 학설을 비판할 때는 현장 및 규기의 역서 및 저술을 인용하거나 참고한 흔적이있으나, 자신의 주장을 나타낼 때는 의도적으로 그들의 저술을 배제한 사실이 드러났다.
    [결론] 대혜도경종요는 지금까지 원효의 반야경 해설서로 알려져 왔지만, 실제로는 원효가규기의 견해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드러낸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aehyedogyŏng chongyo(THC), a text attributed to Wŏnhyo (617~686), and clarifies its main focus.
    [CONTENTS] In Chapter 5 of THC, Wŏnhyo negatively critiques the classification of Jie shenmi jing, which corresponds to the interpretation of lowering Prajñāpāramitā sūtras. Before Wŏnhyo’s critique, Kuiji(632~682) had already debated this topic, but he followed the contents of Jie shenmi jing. This article shows that Wŏnhyo's critique is aimed at challenging Kuiji’s statement. Additionally, in Chapter 2, Wŏnhyo deals with Xuanzang’s Yogācāra theory, known as the Four Parts of the Mind, which was first argued in Cheng weishi lun. Wŏnhyo deliberately excludes Dharmapāla’s view, which is supported by Xuanzang and Kuiji, and upholds Dignāga’s view. This paper argues that this is also a critique of Kuiji’s view.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s and frequency of quotations in THC, along with the abov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Wŏnhyo intended to return to the Buddhist interpretation that preceded Xuanzang’s period.
    [RESULTS] THC actually contains Wŏnhyo’s critiques of Kuiji’s arguments, which are situated in a larger context of Buddhist interpretations that preceded Kuiji, and through which Wŏnhyo seeks to challenge and refute Kuiji’s vi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