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습차제』의 『능가경』 인용과 유통 고찰 (A Study on the Citation of Lankavatara-sūtra(『楞伽經』) in Bhāvanākrama(『修習次第』), and the adoptation of the Sūtra in Seon Buddhis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8
25P 미리보기
『수습차제』의 『능가경』 인용과 유통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2호 / 153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정미(재범)

    초록

    까말라실라의 저작인 『수습차제』는 8세기 불교가 티벳에 전파될 때 삼예사에서 벌어진 논쟁에서 인도불교를 지지한 까말라실라의 이론들을 볼 수 있는 문헌이다. 『수습차제』의 중심 내용은 이제설에 입각해 승의제로서 진리는 공성이며 차별이 없지만 세속제의 입장에서 혜학과 정학을 성숙시켜 나가는 단계적 수행을 주장한다. 『수습차제』에는 나가르주나의 『중론』을 비롯한 중관학파의 논서들을 다수인용하며 『능가경』의 인용도 다수 등장한다. 삼예사의 논쟁에서 까말라실라와 대론한 마하연선사가 『능가경』을 직접 인용한 사례는 보이지 않지만, 마하연선사가 활동했던 시기에 『능가경』이 선종의 소의경전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능가경』은 까말라실라와 마하연선사 모두가 중요시했던 경전이었다. 『능가경』가운데 초기 선종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한 주제들은 여래장사상으로서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본래 청정하며 여실한 공성으로서 이를 보면 단박에 반야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며, 또한 이제설의 입장에서 궁극적 진리는 모든 희론과 언어로 표현할 진리가 끊어져 있다는 언어도단의 입장이다. 『능가경』은 선문의 돈오와 언어도단의 단서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중관사상을 중심으로 세속제의 단계적 보살수행을 설한다. 『수습차제』에 인용된『능가경』도 대부분 중관사상의 전거로서 인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제설을 근거로 세속제로서 문사수의 차제 적 수행의 근거를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능가경』은 여래장사상, 혹은 일심사상을 지지하는 경전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수습차제』의 『능가경』 인용을 살펴본 결과『능가경』의 본의는 중관사상인 사실이 『수습차제』의 『능가경』인용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영어초록

    The Bhāvanākrama(『修習次第』) is a work of Kamalaśīla that contains the idea of the author who supported the doctrines of Indian Buddhism against that of Seon Buddhism of China in the historic Argument of Samye Monastery in ancient Tibetan Buddhism. The central content of Bhāvanākrama is the Theory of Two Truth(二諦說) that by the standpoint of the Ultimate Truth(勝義諦) every phenomenon is empty and exists without discrimination instead by the stand pont of Mundane Truth(世俗諦) it is possible to preach Buddhism to sentient beings by words and also to develope practitioner's mind and reach enlightenment by gradual steps of Buddhist practices. The Bhāvanākrama quotes lots of Buddhist scriptures and it especially includes the Lankavatara-sūtra(『능가경』) and the works of the Madhyamika School. The Lankavatara-sūtra is also a primal text of Seon school since the sūtra was introduced and translated to China and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Seon Buddhism in China so that the Seon master, Mahayeon(摩訶衍) should have well known the ideas of Lankavatara-sūtra.
    The Lankavatara-sūtra firstly offers the idea of Tathagatagarbha which supports the idea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 since the nature of sentient beings are of inherent nature of enlightenment which are grasped by the wisdom of enlightenment, and secondly support one of the main idea of Seon Buddhism that the Ultimate Truth are beyond any expressions of words and sentences which are also supported by the argument by Madhyamika school.
    The Lankavatara-sūtra has been known by many scholars a sutra that support the idea of Tathagatāgarbha but this writer argues that the main intent of the Lankavatara-sūtra is to explain the idea of Madhyamika School, especially the logic of Two Truth and the idea of Tathagatāgarbha was adopted incidentally by the standpoint of the Mundane Truth.
    In the Bhāvanākrama Kamalasīla took the issu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pport the gradual development of mind and stages of Bodhisattva but he didn't exclude the sudden realization of truth or the reality of Buddhahood by the standpoint of Madhyamika School of later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