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和經>에 보이는 ‘儒·佛·道’와 三敎會通 (Three Religious-Unity Theory and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inherent in ‘Junghwagyeong(中和經)’)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lt;中和經&gt;에 보이는 ‘儒·佛·道’와 三敎會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22권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장재진

    초록

    근대를 맞이하는 시기에 동아시아 각국들은 내부적인 혼란과 외부적인 서양의 침탈로 인해 극도의 혼란과 위기를 겪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조선은 내적으로는 봉건적 가치를 형성했던 유학의 지위가 변화됨에 따라서 유학을 더욱 강고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유학적 가치를 부정하고 서양의 문물을 하루빨리 수용해서 근대화에 앞장서자는 주장이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 의해서 주도된 ‘위정척사운동’과 ‘개화사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유학의 전승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양극단적인 판단과 달리 부분적인 변용을 통해서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한 주장도 있었다. 이러한 변용에는 당연히 불교와 도교의 비판을 통한 수용이라는 회통적인 방법도 포함되었다. 이는 근대기의 인물인 최제우와 강증산을 통해서 주장되었다. 이들은 유학적 사유가 사회에 끼친 부정적인 경우를 타파하고 전승해야할 긍정적인 부분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형성된 경전이 증산 강일순(1871-1909)에 의해 지어진 『중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증산의 회통적인 사유는 이어하트가 말한 “종교의 화석화(fossilizaton)현상”에 대한 대응적인 것으로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지향했다고 볼 수 있다. 이어하트는 모든 종교가 발달과정에 있어서 형식화(formalism)와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번갈아 거치게 되는데, 사회의 변화기를 맞이해서 개혁화의 과정이 중지되고 형식화의 과정만 지속되면 사람들은 기성종교가 아닌 새로운 종교적 활력을 찾게 되고 이 결과로 신종교가 탄생하게 된다고 한다. 최준식, 「증산이 보는 전통종교」, 『현상과 인식』 44, 1988, p.76.(재인용) 증산은 유교의 개혁화에 불교 및 도교와의 회통을 통한 새로운 종교적 변혁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에 부합하여 형성된 경전이 『중화경』이라고 본다.
    본고를 통해서 논자는 강증산의 유학적 가치의 전승에 대해 고찰하고, 이와 함께 『중화경』에 내재된 儒·佛·道 三敎의 會通적인 사유를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연구함에 있어서 첫째는 유교나 불교 또는 도교적인 성향이 함의된 내용을 분류하고 분석했다. 둘째는 어떤 구절이나 내용에 함의된 사상이 儒·佛·道 三敎의 특정 종교에 국한된 것이 아닌 포괄적인 것이 있어서 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중화경』이 성립된 시대적 배경과 경전에 함의된 사상을 통해서, 근대 이후 종교다원주의의 원류(原流)로 보이는 강증산의 다원주의적 혼합주의가 반봉건을 통한 근대극복의 의지를 표명하고 이상세계를 향한 방향을 제시했음을 알아보고자 했다.
    강증산의 다원주의적 혼합주의가 『중화경』을 통해서 반봉건을 통한 근대극복의 의지를 표명하고 이상세계를 향한 방향을 제시했다고 본다면, 『중화경』에 함의된 儒·佛·道 三敎의 회통적 혼합주의는 칼 야스퍼스가 말한 ‘축의 시대’ 이후 형식화(formalism)와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번갈아 진행해 오던 三敎의 화석화 과정에 개혁화의 의미를 부여했다고 보인다.
    야스퍼스에 의하면 ‘축의 시대’에 발생한 고등의 종교들이 이후 여러 차례 각 종교에서 형식화와 개혁화를 반복했음을 알 수 있다. 강증산은 근·현대 동아시아의 종교적 성향에 새로운 개혁화의 과정을 필요하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시대정신을 선도하고자 시도한 결과물 중 하나가 『中和經』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to examine ‘Junghwagyeong(中和經)’ authored by Jeung-san Gang who longed for an ideal world based on Three Religious-Unity Theory in situations where East Asia faces turbulences in the modern period. Jeung-san Gang’s cosmopolitan vision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reforming religious fossilization as insisted by Earhart. If it is believed that revitalization is realized when formalism and reform are implemented alternately, the scripture ‘Junghwagyeong’ seems to comply with the directionality.
    The study is focused on delving into transmission of Jeung-san Gang’s Confucian value and contemplating cosmopolitan vision of such three religions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herent in ‘Junghwagyeong’ through literary research. It indicates that with respect to the historical backdrop of establishment of Junghwagyeong and the ideologies inherent in the scripture, Jeong-san Gang’s pluralistic syncretism that is believed to be the origin of religious pluralism after the modern period expresses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modern period through semi-feudalism and suggests the direction to the ideal world.
    If Jeong-san Gang’s pluralistic syncretism expressed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modern period through semi-feudalism based on Junghwagyeong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the ideal world, the cosmopolitan syncretism of the three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is inherent in Junghwagyeong seemed to imbue the fossilization of the three religions that alternately went through formalism and reform after the Axial Age argued by Karl Jaspers with special significance of re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