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에 표현된 『산해경(山海經)』의 신화적 이미지들 -정치성인가? 주술적 현실인가? (A Study on Shanhaijing(山海經) Images of Chuckjudonghaebi(陟州東海碑))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에 표현된 『산해경(山海經)』의 신화적 이미지들 -정치성인가? 주술적 현실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29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정재서

    초록

    조선 현종(顯宗) 초년에 삼척부사(三陟府使) 허목(許穆)에 의해 세워져 근 400 여 년간 존립해온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는 지금까지 숱한 설화를 생성해왔으며 여전히 신비한 아우라에 휩싸여 있다. 이 비의 건립 의도 및 성격 등 실체 규명을 위한 그간의 논의는 대부분 허목을 위요(圍繞)한 정치적 요인들에 집중되었는데, 예컨대 토호의 반발과 민심의 동요를 무마하기 위한 방편, 혹은 당쟁의 실상과 그것을 종식시키고자 하는 염원 등을 거론해왔다. 이 글에서는 저간(這間)의 논의 결과들에 유념하면서도 무엇보다 ‘척주동해비’ 자체로부터 유로(流露)되는 신이성(神異性)을 몰각할 수 없다는 감성인식에 근거하여 이 비가 지닌 주술적 효능에 주목, 비문인「동해송(東海頌)」에서 전개된『산해경(山海經)』의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소론(所論)을 전개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허목의 학문과 사상을 살펴본 결과 그는 상고(尙古)적 입장에서 선진(先秦) 유학을 추숭(追崇)하고 방외(方外), 도가적 기풍을 다분히 지녔는데 이러한 경향은 한국 고유의 선가(仙家)라 할 조선 단학파(丹學派)와 착종(錯綜)한 관계에 있는 그의 혈통 및 가학에서 유래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본론의 전반부에서「동해송」전시(全詩)를 세 파트로 나누어 그곳에 표현된『산해경』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파트에서는 광활한 동해와 그곳의 기이한 산물, 신령, 괴수, 이방인 등을 음영(吟詠)함에 대택(大澤), 양곡(暘谷), 교인(鮫人), 천오(天吳), 부상(扶桑), 흑치(黑齒) 등『산해경』에서 직간접으로 도출된 이미지들을 활용, 재배치하여 신화적, 주술적 정조(情調)를 효과적으로 환기하였고 마지막 파트에서 이 모든 이물(異物)과 종족의 조화로운 공존을 옛 성인의 덕화(德化)로 돌림으로써 대홍수의 평정자이자『산해경』의 찬자(撰者)인 우(禹)를 연상, 추체험케 하여 그 위업의 재현을 기원하였다. 다음으로 본론의 후반부에서 ‘척주동해비’의 건립 의도 및 성격을 주술문학 전통,『산해경』이미지의 주술적 힘에 대한 믿음, 주술적 장치의 세 가지 측면에서 재검토한 결과, 허목은주가(呪歌)「해가사(海歌詞)」의 토양 위에 한유(韓愈)「악어문(鰐魚文)」의 주술문학 전통을 이어받아 유학자로서의 주술적 행사를 정당화시켰고 옛 성인 우의 이미지 구사 전략을 따라「동해송」의『산해경』이미지로 하여금 재난 평정의 주술적 힘을 획득토록 의도하였으며 상상계와의 원활한 교감을 위한 압운, 부적 효과를 기도한 고전(古篆) 서체 등의 주술적 장치를 강구하였다. ‘척주동해비’ 건립과 관련한 이러한 수미일관한 조치와 정교한 주술적 안배는 기존에 제기된 바, 토호의 반발과 민심의 동요, 격렬한 당쟁 등 여러 설득력 있는 정치적 해석에도 불구하고 허목이 이른바 정통 유가 이전에 단학파 계열의 사족(士族)이라는 탈이념적 주체로서 주술적 현실마저도 또 다른 차원의 현실로 긍정하는 다층적 인식구조의 소유자임을 웅변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intention and character of the Donghai Monument in Zhizhou, which was established by Sanmu Prefecture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Most of the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Donghai Monument in Zhizhou have affirmed that the Donghai Monument in Zhizhou is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sition of Xu Mu But this articl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tchcraft of the Donghai Monument in Zhizhou, and analyze it with the image of Shan Hai Jing.Firstly, it examines Xu Mu's tendency of learning and his family background, and then he learns that Xu Mu followed the pre-Qin Confucianism, Which is influenced by the Korean Dan School.Then,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mythical images of Shan Hai Jing in the inscriptions "Ode to the East Sea", such as Ozawa, Yanggu, Shark, Tien Wu, Fuso, Myth and witchcraft to show a variety of foreign and racial harmony, and it is attributed to Yu, after all, pray for reproduction of the great cause of Yu. Xu Mu also inherited the Korean song "sea song" and Han Yu "crocodile And the effect of the image of Yu drive the strategy to attempt to get water and soil witchcraft strength.Moreover, in order to communicate his imagination, pay attention to rhyme, ancient seal and other witchcraft device. The above-mentioned measures of the Tokai Monument demonstrate that he is a manifestator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knowledge of the magic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