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운 신겸의 十王圖草와 使者圖草 연구 (A study on Toeundang Singyeom’s Outline Drawings of Ten King of Hell and Four Messeng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10
28P 미리보기
퇴운 신겸의 十王圖草와 使者圖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6권 / 167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조선 후기 시왕도 연구에서 19세기 전반은 18세기와 19세기 후반에 비해 크게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 시기에 뚜렷한 형식 변화나 후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친 시왕도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1828년에 퇴운당 신겸이 출초한 <시왕도초와 사자도초>는 19세기 전반에도 새로운 형식의 시왕도와 사자도가 제작되었다는 사실과, 18세기 말과 19세기 후반 사이에 다양한형식이 단계적인 과정을 밟으며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신겸의 <시왕도초와 사자도초>는 그의 불화를 해석하고 활동범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초본을 통한 화풍의 전승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글에서는 신겸의 <시왕도초와 사자도초>를 중심으로 이 초본에 근거해 제작된 불화가 어느 사찰에 봉안되었고, <시왕도초와 사자도초>의 특징이 무엇이며, 그리고 후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같은 고찰은 신겸이초본에 남긴 기록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신겸의 <시왕도초와 사자도초>는 1828년과 1829년 고운사와 중흥사의 명부전불화 제작에 밑그림으로 사용되었다. 신겸이 출초한 이 초본은 18세기의 시왕도와 사자도와는 다른 형식을 하고 있다. 시왕도는 화면에서 시왕의 존재감은 커졌고 권속과 소품이 많아지면서 구성은 복잡해졌으며 심판장면과 형벌장면의 경계를 짓는 구름 대신 성곽을 사용해 상단과 하단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8세기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신겸은 이를 수용하면서 자신의 화법으로 새로운 시왕도초를 제작하였다. 신겸의 초본은 明眼이나 후배 화승이 다시 出草할 정도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서울.경기의 태고사, 신륵사, 청련사 등과 경북의 불영사와 선석사 등의 명부전에 봉안된 시왕도와 사자도의 모본이 되었다. 후대에 제작된 불화 가운데 <태고사 시왕도와 사자도>는 신겸이 조성한 <고운사 시왕도>(1828)와 구성 및 표현, 각 폭의 장황방식 등이 가장 유사하다. <태고사 시왕도와 사자도>는 1909년에 이왕가박물관이 조중현씨로부터 구입한 유물로 비슷한시기에 <중흥사 약사불회도>와 <중흥사 아미타불회도>도 함께 박물관으로 유입되었다. 20세기 초 이왕가박물관으로 태고사 불화가 유입되는 과정과 중흥사와태고사는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인 정황 등을 고려해 보면 <태고사 시왕도와 사자도>의 원 소장처가 중흥사일 가능성이 있다. 이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후 새로운 자료가 발견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Painting of Ten Kings of Hell from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has not been paid its due consideration compared to that of the 18h century or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lack of its distinguished stylist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influence on the later Ten Kings of Hell paintings has been considered responsible for this.
    The fact Toeundang Singyeom(退雲堂信謙)’s Outline Drawings of Ten King of Hell and Four Messengers were produced in 1828 bespeaks that a new type of paintings of the Ten Kings of Hell and Four Messengers were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at a variety of styles in the type of paintings were in progress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Singyeom’s outline drawings helps us not only to analyze the master's execution and sphere of activity but also to study the transmission of his style.
    This research paper based on Singyeom’s record on the outline drawings aims to illuminate their features and determine the master's influence on later painters and their works.
    Singyeom’s outline drawings were used for the painting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Judgement;冥府殿) at Gounsa(孤雲寺 1828) and Jungheugsa(重興寺 1829) respectively. Stylistic features found in Singyeom’s outline drawings differ from those from the paintings of the same kind of the 18th century. The Ten Kings depicted in an imposing manner preside over accompanying attendants in a more complex scene. Ramparts replace clouds used to separate the upper part from the lower where various scenes of judgement and punishment are depicted. These changes already witness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led Singyeom to develop his own style.
    Singyeom’s outline drawing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younger monk painters as Myeongan(明眼) and their works. It is clear that his outline drawings were used to produce the paintings of Ten King of Hell and Four Messengers enshrined in Myeongbujeon at Taegosa(太古寺), Silleuksa(神勒寺),Cheongnyeonsa(靑蓮寺)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uryeongsa(佛影寺)and Seokseonsa(禪石寺) in Gyeongbuk Province and so on. Among these, the Taegosa paintings reveal the closest affinity with Singyeom's Ten Kings of Hell paintings (1828) at Gounsa in composition, style, and the way each picture is mounted. The Taegosa pieces formerly owned by Jo Junghyeon(曺重玄) were one of the Yi Royal Family Museum's acquisitions in 1909 along with the paintings of Bhaisajyaguru Assembly and Amita Assembly, both formerly enshrined at Jungheungsa.
    Considering several aspects such as the museum’s acquisition of the Taegosa paintings along with the Junghheungsa paintings around the same tim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geographic proximity between Jungheungsa and Taegosa,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it is probable that Jungheungsa was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Taegosa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