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경화사족 金用謙의 삶과 교유 (Capital Elite Kim Yong-kyeom’s Life and Companionship in 18th Century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8
44P 미리보기
18세기 경화사족 金用謙의 삶과 교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4호 / 291 ~ 334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순

    초록

    嘐嘐齋 金用謙(1702-1789)은 그리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다. 하지만 18세기 후반의 문제적 지식인들은 그와 막역하게 교유하였고, 그와의 관계를 특별하게 기억하고기록으로 남겼다. 이 글은 18세기 후반의 청년들이 왜 김용겸의 주변에 모여 들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그의 삶과 교유관계를 추적하였다.
    김용겸은 장동김문이라는 노론 세가에서 출생하여 누대에 걸쳐 만들어진 노론 낙론계의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었다. 이런 배경을 둔 김용겸은 정통적인 도학자, 예학자의 면모를 갖춘 노론 낙론계 학자였다. 그러나 김용겸은 당시의 학풍을‘假道學’이라고 규정하고 古禮에 천착하면서 博學을 통해 ‘眞道學’을 추구하였다. 박학은도학을 위한 학문적 방법론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도학보다는 박학이라는 방법론이 그의 학문적 위상을 대변하게 되었다.
    김용겸이 청년들의 이목을 끈 것도 이 지점이다. 그는 기성의 학계에 피로감을 느낀청년들과 문제 인식을 공유하고 長幼와 貴賤을 가리지 않는 개방적인 태도로 젊은이들과 학문적으로 교유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들과 김용겸의 교유 네트워크가 만들어졌다.
    김용겸과 청년들의 교유에는 전승해야 할 학문적인 의제도 없었고, 그 관계를 사제관계로 규정하지도 않았다. 나아가 김용겸이 그 중심에 있지도 않았다. 그들은 서로의관심사에 따라 어울리며 서로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얻고 스스로의 인식을 확장해 갔을 뿐이다. 박학을 매개로 하는 이 같은 학문적 네트워크의 존재를 18세기 후반 한양지식인계의 주요한 속성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companionship of Kim Yong-kyeom (1702-1789) through special memories left by capital-based intellectuals in late 18th century.
    Kim was born to a Noron Jangdong Kim's family and got involved in a broad network of Nakron School formed over a number of generations. From this background, he appeared as a Nakron scholar with aspect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t.
    However, Kim regarded the then academic tradition as ‘fake Neo-Confucianism’ and attempted to pursue ‘true Neo-Confuciansim’ through ancient rites and extensive learning. Extensive learning was an academic methodology for Neo-Confucianism, but the methodology itself turned out to represent Kim’s academic status rather than Neo-Confucianism.
    It was this aspect that Kim attracted young scholar’s attention. Kim shared ideas with those young people who got exhausted by the established academic tradition and enjoyed academic companionship with them regardless of age or status through his open attitude, and as a result, the network between them was built. Their relationship was not of teacher-pupil relations, and moreover Kim was not even at the center of that network. They just interacted with one another according to their interest, gain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expanded their own perceptions. This kind of network formed through extensive learning can be understood as a major characteristic of capital-based academia in lat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